제목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과 오픈액세스 전환 정책(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2.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과 오픈액세스 전환 정책(안).pdf 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 
페이지 수 : 30 

[ 목 차 ]

 

Ⅰ. 제안 배경

 

Ⅱ. 현황 및 문제점

 

Ⅲ. 자문방향(안)

 1. 국가 주도의 OA 거버넌스 구축 및 OA 의무화 정책 추진

 2. 국내 학술지 OA전환․유통 지원 및 전주기 국가 OA플랫폼 구축

 3. 해외 학술지 OA 전환계약 추진 및 글로벌 OA협력 동참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 및 오픈액세스 전환 정책(안) - 요약본 1. 제안 배경 □ (학술정보의 자유로운 이용 촉진) 국내 연구자의 논문 생산·소비 수준은 지속 성장하고 있으나, 학술정보 대부분은 글로벌 상업 출판사, 민간 DB 업체를 통해 유료로 유통되고 있어 연구자와 국민의 자유로운 이용이 제한 □ (OA 등장 및 글로벌 확산) 고비용, 독점적 학술정보 이용 장벽 해결을 위해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학술정보 구독기반 정책에서 오픈액세스 (Open Access : 이하 OA) 정책으로 빠르게 변화 중 < 참고 : 오픈액세스(Open Access) 정의 > ㅇ 이용자가 논문 및 학술지 등의 학술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재정적, 법률적, 기술적 장벽을 없앤 학술정보 유통 모형 □ (OA 추진 효과) 글로벌 현안 공동대응 및 연구생태계 활성화에 기여 ㅇ COVID-19, 기후변화 등 글로벌 공통현안 대응을 위한 연구결과 개방‧공유 ㅇ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도국 등 제3국의 연구접근성 대폭 제고 2. 현황 및 문제점 □ (정책 및 제도 부재) 국가차원의 OA 정책·제도 부재, 특정부처에 국한된 학술정보 지원정책 분산 추진으로 정책 실행력 및 실효성 미미 □ (컨트롤타워 부재) 주관부처 및 총괄지원기관 등의 부재로 글로벌 공급사 등과의 협상력 약화 및 문제해결 추진력 부족 ㅇ 주관부처 부재로 파편화된 정책 추진과 근본적 개선노력 부재 □ (OA 인식 차이) 정부부처와 연구현장의 OA에 대한 인식차이로 관련 정책의 추진력 및 효과성 부족 □ (재정지원 한계 및 정보격차 심화) 급격한 학술정보 구독비용 상승 (약 2천억원/년 추정, ’18)으로 예산 부족 및 연구자간 학술정보 활용격차 심화 3. 자문방향(안) 목 표 국가 기초연구역량 고도화와 연구자 권리 보호를 위한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 및 오픈액세스 전환 추진전략 현황 및 문제점 자문안 국가 컨트롤타워 및 OA 정책‧제도 부재 국가 주도의 OA 거버넌스 구축 및 OA 의무화 정책 추진 OA 글로벌 확산 추세 및 학술정보 지원 부족 국내 학술지 OA 전환‧유통 지원 및 전주기 국가 OA플랫폼 구축 연구자간 학술정보 불평등 심화 해외 학술지 OA 전환계약 추진 및 글로벌 OA협력 동참 연구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 및 OA 추진으로 Open Science(Open Access, Open Data 등) 구현을 위한 주춧돌 역할 수행  국가 주도의 OA 거버넌스 구축 및 OA 의무화 정책 추진 □ (OA 거버넌스 구축) 국가 차원의 일관성 있는 OA 정책 추진을 위해 주관부처 등을 지정‧운영하여 국가 역량 결집 및 공동 대응 추진 ㅇ 학술정보 지원 및 OA추진을 위한 주관부처와 총괄지원기관 지정 □ (OA 국가 로드맵 수립) 유럽, 미국 등 주요국의 사례를 고려하여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공동으로 한국형 OA 로드맵 수립 ㅇ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에 국가 OA 추진정책 반영 □ (OA 법제화) 공공 재원이 투입된 연구에서 도출된 논문성과는 공개를 의무화하도록 관련법률 개정 추진 ㅇ 과학기술기본법 및 학술진흥법 등에 OA 의무화 명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67 성장동력산업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6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로 대두된 '밭농업 기계화'의 촉진 방안 1도토리 국준아
865 성장동력산업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 1도토리 국준아
864 성장동력산업 소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생산성 향상 담보돼야 1도토리 국준아
863 성장동력산업 중국 자동차산업의 변화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62 성장동력산업 농촌을 청년의 꿈터·일터·삶터로 만들자 1도토리 국준아
861 성장동력산업 로컬푸드 활성화, 지자체가 나서야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쌀시장 안정의 전제 조건, 계절진폭 1도토리 국준아
859 성장동력산업 지방 도시, 웨이하이威海시의 투자유치 활동 1도토리 조정희
858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규획 기간 중국 희토류산업의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블록체인기술 응용과 산업 발전 촉진 1도토리 조정희
856 성장동력산업 공영도매시장 관리체계 재정립돼야 1도토리 국준아
855 성장동력산업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54 성장동력산업 독일의 에너지 전환 8차 모니터링 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53 성장동력산업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 기업매뉴얼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52 성장동력산업 농촌 주거·문화·보육 여건 개선, 청년들 정착 도와야 1도토리 국준아
851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가격, 보이지 않는 큰손의 영향력 1도토리 국준아
850 성장동력산업 기업체 혁신 동향 국제비교와 활성화 방향 3도토리 조정희
849 성장동력산업 청년농업인이 증가하고 있다 1도토리 국준아
848 성장동력산업 다중 엣지 서비스 분업 및 실행 플랫폼 기술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