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반도체 미세공정 한계 극복을 위한 첨단 패키징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40
용량 922.07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반도체 미세공정 한계 극복을 위한 첨단 패키징 분석.pdf 922.0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1-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1 

Ⅰ. 반도체 패키징의 개요

 

글로벌 반도체시장(‘23)은 5,300억 달러 규모이며 가치사슬별로는 설계 22%, 제조 전공정 (Front-end) 62%,

제조 후공정(Back-end) 16%로 구성됨

 

Ÿ 반도체 제조 공정은 웨이퍼에 회로를 인쇄하는 전공정과 웨이퍼에서 개별칩을 분리하여 조립·검사하는 후공정으로 분류하며 후

   공정은 웨이퍼 검사, 패키징, 패키징 테스트를 담당

 

‑ 패키징은 반도체 소자의 신호전달, 전력공급, 열 방출, 반도체 보호 등을 담당

 

첨단 패키징은 다중·복수의 칩을 하나의 패키지로 제조하면서 칩 성능 향상, 비용 절감 등을 구현하여

반도체 선폭 미세화의 기술적·경제적 한계를 돌파하는 대안으로 부상

 

Ÿ 엔비디아의 H200은 GPU와 6개의 HBM을 2.5D로 패키징하여 칩 간 거리가 가까워져 개별 칩을 패키징하는

   기존 방식 대비 35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

 

Ÿ 기존 칩을 레고처럼 기능별로 분리하여 칩 조각(chiplet)으로 제작한 후 하나로 패키징하는 Chiplet 방식은 반도체 수율 향상,

   제조단가 절감, 칩 개발속도 단축 등의 장점이 있음

 

Ⅱ. 첨단 패키징 시장 현황 및 전망

 

첨단 패키징 시장은 2023년 378억 달러에서 2029년 695억 달러로 연평균 11% 성장할 전망


Ÿ 2023년 패키징 시장은 86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7~2028년을 기점으로 첨단 패키징 시장이 기존 패키징 시장보다 커질 전망

 

패키징은 전방산업 의존도가 높으며, 수요처별로 패키징 요구사항이 상이해 기술별 제조 설비 및 공정 보유여부,

공정 및 설비기술 대응 능력, 납기, 가격 등이 중요
 

Ÿ 비메모리 반도체는 다품종 제품이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되는 비중이 높아 파운드리와 후공정 전문기업(OSAT)의 매출증가율은 동행

 

Ÿ 메모리반도체 패키징은 메모리반도체기업(IDM)의 In-house 패키징 비중이 높으며 메모리 반도체기업은

   메모리반도체 업황 등에 따라 외주 비중을 조정

 

기존 패키징은 후공정 전문기업(OSAT) 중심이나 첨단 패키징은 파운드리와 종합반도체 기업(IDM)이 자금력,

기술력 등을 기반으로 투자를 확대
 

Ÿ 파운드리와 종합반도체기업(IDM)이 첨단 패키징 투자를 주도하며 이들의 첨단 패키징 시장점유율은 약 30%로 추정


‑ 첨단 패키징중 Low-end와 Mid-end 패키징은 후공정 전문기업(OSAT), High-end 패키징은 파운드리와

  종합반도체기업 중심의 구조

 

 

 

 

 

 

 

 

---------------------------------------------------------------------------------------------------------------------------------------------------------

 

 

 

 

 

 

 

 

파운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9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농정 산업의 전망과 주요 이슈 7도토리 노민우
79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가별 디지털 산업 트렌드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9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정보통신 산업의 주요 품목들의 동향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9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국가 플래그십, HPC 인프라 구축 사업 현황 13도토리 노민우
79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업과 산업을 중심으로 보는 주요국들의 디지털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79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주요 전방산업과 도체업의 전망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기초산업의 실태와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79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실적현황과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79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국내, R&D 활동 결과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해외 인재 확립을 위한 디지털 산업분야 비자 현황과 개선점 9도토리 국준아
7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의 기술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고용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발전에 따른 인공지능 안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능형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국가 개발투자 현황과 이머징 이슈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XR산업의 현황과 개선점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기후변화에 따른 하구, 연안의 정책방향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 산업 노동자 환경 분석 조사 13도토리 이지훈
79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콘텐츠사업 실태현황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중앙아시아 ODA 협력 및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혁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과 추친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