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4년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인식 조사 보고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38
용량 6.33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4년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인식 조사 보고서.pdf 6.3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1-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57 

1. 조사 배경 및 목적


가. 조사 배경


ㅇ 국내 콘텐츠 서비스 규모는 디지털 이용 환경이 풍부해짐에 따라 서비스의 공급과 이용의 양적 증가가 함께 확대되었고

    현재는 그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해오고 있음

 

- 만 3세 이상 국민 중 인터넷 이용률은 94.0%, 국내 가구 인터넷 접속률은 99.97%임

- 국내 스마트폰 보급률은 94.8%2)이고 만 18세 이상 성인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9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민의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ㅇ 디지털 이용환경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과 내용에 매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그 트랜드를 바꾸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ㅇ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는 양적인 증가 뿐만 아니라 이용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간과

    소비규모의 향상도 함께 가져오고 있음

 

ㅇ 디지털 콘텐츠의 수요 증가는 다양한 유형의 공급자를 만들었으나, 한편으로 일부 콘텐츠 사업체들로

    인해 발생하는 이용피해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상황임

 

- 독점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의 불합리한 이용약관 구성 및 일방적인 단방향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피해

- 소모 주기가 빠른 콘텐츠 특성을 악용한 콘텐츠 제공자의 비합리적이고 소비자 기만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인한 피해 발생

- 소액 피해 발생 시 이용자의 이의제기 신청이 적다는 점을 이용한 부당한 결제 피해
- 다양한 방식의 다크패턴 (눈속임 방식)으로 인한 금전적 피해 발생 등

 

ㅇ 콘텐츠 서비스 이용피해의 증가는 실제 분쟁상담과 조정을 담당하는 콘텐츠분쟁조정위원회의 분쟁상담

    신청 건수의 지속적 증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ㅇ 정부는 콘텐츠 이용자의 권익보호와 건전한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콘텐츠산업 진흥법을 통해

    「콘텐츠이용자 보호지침 준수 시행령」을 고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콘텐츠 사업체가 이용자에게 부당한 약관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피해가 음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규제를 마련함

 

 

 

 

 

 

 

 

---------------------------------------------------------------------------------------------------------------------------------------------------------

 

 

 

 

 

 

 

 

그림.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9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농정 산업의 전망과 주요 이슈 7도토리 노민우
79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가별 디지털 산업 트렌드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9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정보통신 산업의 주요 품목들의 동향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9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국가 플래그십, HPC 인프라 구축 사업 현황 13도토리 노민우
79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업과 산업을 중심으로 보는 주요국들의 디지털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79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주요 전방산업과 도체업의 전망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기초산업의 실태와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79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실적현황과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79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국내, R&D 활동 결과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해외 인재 확립을 위한 디지털 산업분야 비자 현황과 개선점 9도토리 국준아
7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의 기술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고용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발전에 따른 인공지능 안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능형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국가 개발투자 현황과 이머징 이슈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XR산업의 현황과 개선점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기후변화에 따른 하구, 연안의 정책방향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 산업 노동자 환경 분석 조사 13도토리 이지훈
79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콘텐츠사업 실태현황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중앙아시아 ODA 협력 및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혁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과 추친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