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대한민국, 전세자금대출이 주택산업에 끼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36
용량 1.56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대한민국, 전세자금대출이 주택산업에 끼치는 영향과 개선방안.pdf 1.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1-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10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 높은 전세가격으로 가구 순자산만으로 전세보증금을 마련하여 전세로 거주하는 데 어려움

 

∙ 전세보증금은 2024년 7월 전국 평균 2.2억 원, 수도권 3.2억 원으로 순자산 6~7분위 이하 가구는 순자산으로 전세 거주가 어려움

 

- 2024년 7월 평균 전세가격은 전국 2.2억 원, 수도권은 3.2억 원이고,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2.7억 원, 수도권 평균 3.8억 원


- 2023년 평균 전세가격은 전국 2.2억 원, 수도권 3.1억 원이고,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국 평균 2.6억 원, 수도권 평균 3.6억 원


∙ 순자산 상위 6분위 미만 가구는 전세가격보다 순자산이 낮고,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3.8억 원)은 순자산 상위

  7분위 순자산(3.8억 원)과 

 

- 2023년 평균 자산은 5.3억 원이고, 평균 순자산은 4.4억 원4)으로 수도권 평균 전세가격보다 높음

 

- 분위별 평균 순자산은 1분위 –728만 원, 4분위 1.3억 원, 5분위 2.0억 원, 6분위 2.8억 원, 7분위 3.8억 원

 

□ 전세자금대출은 주택구입자금대출과 달리 담보가 없으므로 신용보강을 위한 보증이 필요


∙ 전세자금대출은 주택구입자금대출과 달리 담보가 없으므로 전세자금대출 보증의 신용보강이 필수
∙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은 서민, 저소득층 주거비 완화에 영향이 있음

 

-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은 다양한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주택금융을 이용하는 개인

  또는 금융기관에 대해 일정 부분 보증을 제공하는 제도

 

- 공적 보증에서 채무자가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하는 경우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대출금을 대신 갚아주는 역할을 함

 

∙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 효용은 주택금융 소비자, 주택금융 공급자인 금융기관, 공적 보증 운용 주체인 정부 및 공공기관에 발생

 

- 금융기관은 장기 금융에 내재된 신용위험, 가격변동위험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없어 장기 주택자금대출을 꺼림

 

 

 

 

 

 

 

 

 

 

 

---------------------------------------------------------------------------------------------------------------------------------------------------------

 

 

 

 

 

 

 

 

전세.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98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농정 산업의 전망과 주요 이슈 7도토리 노민우
79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가별 디지털 산업 트렌드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9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정보통신 산업의 주요 품목들의 동향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9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국가 플래그십, HPC 인프라 구축 사업 현황 13도토리 노민우
79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업과 산업을 중심으로 보는 주요국들의 디지털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79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주요 전방산업과 도체업의 전망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기초산업의 실태와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79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대한민국 전자정부의 실적현황과 시사점 9도토리 국준아
79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국내, R&D 활동 결과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해외 인재 확립을 위한 디지털 산업분야 비자 현황과 개선점 9도토리 국준아
79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공지능의 기술변화를 통한 콘텐츠산업의 고용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79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발전에 따른 인공지능 안전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79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능형 인공지능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국가 개발투자 현황과 이머징 이슈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XR산업의 현황과 개선점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기후변화에 따른 하구, 연안의 정책방향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방송 산업 노동자 환경 분석 조사 13도토리 이지훈
79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콘텐츠사업 실태현황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79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중앙아시아 ODA 협력 및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
796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술혁신을 위한 글로벌 협력 기반의 생성형 인공지능의 활용과 추친 현황 분석 7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