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서비스 산업의 변화와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50
용량 1.7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서비스 산업의 변화와 현황.pdf 1.7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0-3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5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

 

들어가며


최근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이라는 단어가 다양한 IT 분야에서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이 용어는 본래 음악에서 여러 악기를 조화롭게 편성하고 지휘하는 과정을 의미하지만, IT 분야에서는 복잡한 시스템의

여러 요소를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는 의미로 자리 잡았다.

 

가장 흔히 접하는 대표적인 예로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을 들 수 있다. 쿠버네티스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수많은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배포, 확장, 관리하는 이 기술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의 근간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복잡하게 진화하는 AI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개발/배포하기 위한 ‘AI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규모 언어모델(LLM)에 기반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의 경유 모델 구축/배포, 모니터링, 도구 연계, 에이전트 및 API 관리 등 복잡한 작업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오케스트레이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AI 오케스트레이션 층은 여러 AI 모델과 관련 시스템 도구를 조화롭게 통합하고 관리하는 것을 말하며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AI 기능을 효과적으로 조정하고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와 머신러닝 모델의 개발, 배포, 운영을 자동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엔드투엔드(End-to-End)

 

프로세스를 지칭하는 MLOps와 AI 오케스트레이션이 지향하는 목표도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MLOps 파이프라인에서 데이터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그림2)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제한 후 이를 모델 학습에 활용하고,

이렇게 해서 배포된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러 AI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가 또다시 모델 개발을 위해 활용된다.

즉 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은 AI 오케스트레이션과도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거나 혹은 이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

 

 

 

 

 

 

 

 

 

아마존.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데이터기반의 인공지능 첨단기술 현황과 시사점 13도토리 국준아
84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로봇산업 개발 동향과 주요 이슈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4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5년 피지컬 인공지능의 기술현황과 전망 분석 9도토리 국준아
84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한국 기업 및 대학의 글로벌 인재 고용 현황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4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SW산업의 현황과 시사점 11도토리 국준아
842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정부의 출범 후 무역추친현황과 시사점 13도토리 국준아
84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글로벌 전세계 주요 경제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42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마국정부의 관세조치를 통한 외환시장의 현황 3도토리 정한솔
842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X시대 글로벌 주요국들의 AI산업의 정책 및 기술 발전 동향 분석 7도토리 정한솔
84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6G 기술개발 현황과 정책 및 시장 동향 5도토리 정한솔
841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인공지능 전환시대, 인재양성 동향 분석 7도토리 정한솔
84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대한민국 1분기 수출 현황과 2분기 전망 분석 7도토리 장민환
841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정보통신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전략방안 7도토리 장민환
841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자율형소프트로봇핵기술 국제연구사업 대상 공고 3도토리 장민환
84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SDV 산업의 SW 인력 개발을 위한 정책 방안 연구 13도토리 장민환
84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조선산업 주요 정책 내용과 전망 5도토리 장민환
8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메타버스 산업의 주요동향과 발전 방안 분석 13도토리 장민환
84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소프웨어기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 13도토리 장민환
84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발전에 따른 악용화 정책 방안 분석 13도토리 장민환
84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AI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 디지털 구성기술 분석 13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