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46
용량 5.4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pdf 5.4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7 
출처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페이지 수 :

1. 머리말 2021년 현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추어 농축수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노동집약적 1차산업이 D·N·A(Data·Network·AI)와 융합해 ‘스마트농축수산’으로 변모하고 있다[1]. 2019년 유엔의 세계 인구 전망에 따르면, 당시 77억 명의 인구가 2050년에는 약 97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2], 인구증가로 인한 식량 수요를 충족하려면 식량 생산을 50% 가까이 늘려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에 반해 앞으로의 지구 환경은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과 가뭄의 심화로 식량 작물 수확량이 30%가량 줄어들 전망이다[3]. 이러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래의 농축수산업은 첨단기술과의 융복합으로 투입에너지 최소화와 수확량 최대화를 실현해야 한다. 농축수산업의 고부가가치 첨단산업화 및 식량안보 문제 해결도 과제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스마트농축수산’을 정의하고, 국내외 관련 정책과 기술 및 표준화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2. 스마트농축수산 정의와 범위 당연하게도 ‘스마트농축수산’은 농산업, 축산업 그리고 수산업의 스마트화를 의미한다. 시간의 흐름으로 보면 농산업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화가 진행되었고, 기술이 발전하면서 축산업으로 확장하였다. 최근에는 수산업에서도 양식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화가 시작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스마트농축수산’이란 모든 먹거리의 생산·가공·유통·소비 전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드론, 5G 등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하여 자동화·지능화를 통한 혁신을 이루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최근 각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는 스마트화의 용어 정의와 주요 응용분야는 과 같다. 3. 스마트농축수산 정책 및 기술 동향 3.1 국내 스마트농축수산 정책 및 기술 국내 스마트농업 R&D 사업은 정보통신부 u-Farm 선도사업(2004~2009)을 시작으로, 이후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을 중심으로 재편되어 이어지고 있다[7]. 이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농식품 ICT 융복합 확산대책(2013)을 통해 스마트농업 추진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하였으며[8], 2018년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시설농업 스마트팜 보급 목표 수립 등을 골자로 하는 스마트팜Ⅰ 기술표준이슈 ----• ICT Standard Weekly 제1068호 • --------------------------------------------------------------- 2 산업별 스마트 정의와 응용분야 구분 대표 용어 및 정의 응용분야 농산업 스마트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격에서 자동으로 작물의 생육환경을 관측 하고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는 과학 기반의 농업방식[4] * 농업과 함께 축산, 수산을 포함하기도 함 시설원예(온실), 노지, 식물공 장, 농장, 농촌, 과수원, 감염 병, 동물복지, 정밀/자율농업 축산업 스마트축사: 축사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하여 축사의 환경과 가축을 원격·자동으로 관리함으로써 노 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이 향상된 농장[5] * 통신, 센서, CCTV,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로봇, 인공지능(AI) 등 축사 수산업 스마트양식: 양식수산물의 효율적·친환경적 생산을 위 한 최적 생육 알고리즘 구축과 양식 수산물 생산-가공- 판매의 최적의사결정을 위하여 사물인터넷(IoT), IC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 여 양식산업 시스템을 자동화·지능화한 것[6] 어촌, 양식, 어선조난 확산방안을 발표, 2022년까지 스마트팜 혁신 밸리를 구축할 계획이다.[9]. 이후에도 정부는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2020~2024)에서 ICT 융복합 스마트농업을 5대 중점연구분야 중 하나로 설정하여 시설원예, 축사, 노지농업, 유통분야 R&D 로드맵을 제시하였다[10]. 또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과기정통부는 2021년부터 2027년까지 2세대 스마트팜의 실증·고도화 및 3세대 스마트팜 핵심 기술 확보를 추진 중이다[11]. 세대별 스마트팜 구분 및 비교 구분 1세대 2세대 3세대 상용화 시기 현재 2030년 2040년 목표효과 편의성 향상 '좀 더 편하게' 생산성 향상 '덜 투입, 더 많이' 지속가능성 향상 '누구나 고생산·고품질' 주요기능 원격 시설제어 정밀 생육관리 전주기 지능·자동관리 핵심정보 환경정보 환경정보, 생육정보 환경정보, 생육정보, 생산정보 핵심기술 통신기술 통신기술, 빅데이터/인공지능 통신기술, 로봇, 빅데이터/인공지능 의사결정/제어 사람/사람 사람/컴퓨터 컴퓨터, 로봇 대표 예시 스마트폰 온실제어 시스템 데이터 기반 생육관리 소프트웨어 지능형 로봇공장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최근,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혁신성장을 위한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로서 ‘한국판 뉴딜’ 을 발표하였다(2020.7.14.).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2개의 축으로 추진되며,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은 각각 4대 분야 12개 추진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농식품 분야는 스마트팜, 무인자동화 농업 기반, 농축산물 온라인 경매 시스템 등 총 19개 사업이 반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0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테라헤르츠파 기반 대인 보안검색 기술의 동향과 발전 전망 1도토리 김민성
3506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결함허용 양자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3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 산업기술 환경예측 7도토리 김민성
35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One & Only 차세대 디지털 자산 「NFT」 1도토리 김민성
350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임무 지향적 혁신정책의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50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 에너지 기반 산업의 녹색전환(GX) 방향성 3도토리 김민성
350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선박운항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활용 1도토리 김민성
350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재난 대응 로봇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 3도토리 김민성
349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OECD 주관 국제 인공지능 콘퍼런스 현장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349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북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변화와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49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셜벤처의 혁신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7도토리 민준석
349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기술규제 이해관계자협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3도토리 민준석
349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비상장 벤처기업 주식매수선택권 동향과 이슈 1도토리 민준석
34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재창업 지원 정책 비교 및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349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대재해처벌법의 올바른 인식과 중소기업의 대응 3도토리 이지훈
349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우리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이지훈
34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부채 관리 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9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제도 비교 : 재생·폐업, 신용회복, 특별구제 중심으로 3도토리 이지훈
34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소상공인 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 정책방안 1도토리 이지훈
348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