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831.11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pdf 831.1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55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범위

4.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

 

제2장 여건 변화와 정책 과제

1. 농업‧농촌 정책의 여건 변화

2. 제안: 농업‧농촌 정책 연구 의제

 


 

1. 연구의 배경 농정1)은 성찰을 통해 갱신되어야 한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는 정책의 목적이나 수단의 합리성2)이 여러 차원에서 제기되는 비판(critique)에 넉넉하게 노출되는 것은,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 비판의 형식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이른바 ‘정책 연구’는 정책을 비판하는 작업을 우회할 수 없다. 그러므로 농업이나 농촌에 관계된 정부의 의사결정을 이끌고 합리적인 결과물을 얻기 위한 활동의 목 적과 수단이 체계적으로 진술되어 있는가를 비판하는 데서 농정 연구가 시작된다. 농정 연구는 정책의 목적과 수단, 두 측면에서 진행된다. 정책 수단에 초점을 두 는 연구는 주로 수단이 목적에 맞게 합리적으로 구성(또는 편성)되어 있는지를 따 지거나 그렇게 구성할 방도를 찾는다. 이때 정책의 목적은 ‘이미 주어진(a priori) 것’으로 간주된다.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또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단을 찾는 게 1) 이 보고서에서는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아울러 ‘농정’이라고 하겠다. 2) 여기에서 ‘합리성’은 좁은 의미의 경제적 합리성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4 ❙ 중요하다. 즉,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농정 연구는 대부분 바로 그 ‘수단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정책 수단이 목적에 아주 잘 들어맞는다고 해도, 농정의 목적 자체가 타당 성이 부족하다고 비판받는다면 쓸모없다. 그래서 농정의 목적 자체가 농정 연구 의 대상이 될 때도 있다. 무엇을 목적으로 농업·농촌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해야 합 리적이라고, 또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는가? 무엇을 그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가? 답하기 어려운 질문, 난문(難問)이다. 그렇기에 정책 과제를 도출하려는 물음은 끊 임없이 제기된다. ‘농업·농촌 정책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작업은 다각도로 진행 되지만, 크게 ‘정부의 농정 기획’과 ‘정책 연구기관의 농정 연구 기획’이라는 두 종 류의 계기를 통해 진행된다. 한편, 도출하려는 정책 과제가 장기적인 성격의 것인 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서, 혹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농업․농촌 정책 과제를 도출 하려는 종합적인 것인지 아니면 국지적인 수준에서의 도출 작업인지에 따라서 그 작업의 내용과 범위가 다르다. ‘정부의 기획’이라는 계기에 속하는 농업․농촌 정책 과제 도출, 그중에서도 농 정 영역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포괄하는 종합적 수준의 과제 도출 작업이 근년에 몇 차례 진행되었다. 우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없이 긴급하게 출범한 문재인정 부는 짧은 기간에 농업·농촌 정책 과제를 설정해 추진하였다. 국정기획자문위원 회가 주관하여 2017년 여름에 “5개 국정 목표, 20대 전략, 100개 과제”를 정했는 데, 정책 과제의 명칭에서 농업정책 혹은 농촌정책임이 명시적으로 드러난 것은 3 개였다.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이라는 국정 목표를 실현하려고 설정한 3개 전략 중 하나인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범주에 포함된 ‘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 산어촌 조성’, ‘농어업인 소득안전망의 촘촘한 확충’,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 기 반 조성’ 등의 정책 과제다. 이들 정책 과제 안에는 다시 여러 개의 세부 정책 과제 들이 편성되었다. 이후,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47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인도 5개 주 의회 선거결과와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347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1년 북중 무역 평가: 경제난과 무역 정상화 1도토리 국준아
34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와 대러 제재의 경제적 영향 7도토리 국준아
34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양회를 통해 본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46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FTA 발효 10년 성과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34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 기회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나혜선
34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상공인의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 전환 1도토리 나혜선
34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상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해외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4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 동향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4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新인류, 디지털 휴먼 3도토리 나혜선
34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7도토리 정한솔
34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동향 7도토리 정한솔
3460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2022년 클라우드컴퓨팅 트렌드 3도토리 정한솔
345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이동통신 위치기반 서비스 동향 및 정밀 측위기술 소개 1도토리 정한솔
345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021 초연결 지능화시대 DNA 분야 혁신기업 7도토리 정한솔
34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농축수산의 정의와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4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의 디지털전환 실태 및 시사점 3도토리 황세영
34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30 미래사회 변화와 ICT 8대 유망기술의 사이버 위협 전망 7도토리 황세영
345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스마트제조 테스트베드 기반의 중소·중견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3도토리 전아람
345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머신러닝 기반의 차세대 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