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831.11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농업, 농촌 여건 변화 및 정책 과제.pdf 831.1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7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55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범위

4. 주요 연구 내용과 방법

 

제2장 여건 변화와 정책 과제

1. 농업‧농촌 정책의 여건 변화

2. 제안: 농업‧농촌 정책 연구 의제

 


 

1. 연구의 배경 농정1)은 성찰을 통해 갱신되어야 한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는 정책의 목적이나 수단의 합리성2)이 여러 차원에서 제기되는 비판(critique)에 넉넉하게 노출되는 것은,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 비판의 형식은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이른바 ‘정책 연구’는 정책을 비판하는 작업을 우회할 수 없다. 그러므로 농업이나 농촌에 관계된 정부의 의사결정을 이끌고 합리적인 결과물을 얻기 위한 활동의 목 적과 수단이 체계적으로 진술되어 있는가를 비판하는 데서 농정 연구가 시작된다. 농정 연구는 정책의 목적과 수단, 두 측면에서 진행된다. 정책 수단에 초점을 두 는 연구는 주로 수단이 목적에 맞게 합리적으로 구성(또는 편성)되어 있는지를 따 지거나 그렇게 구성할 방도를 찾는다. 이때 정책의 목적은 ‘이미 주어진(a priori) 것’으로 간주된다.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또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단을 찾는 게 1) 이 보고서에서는 농업정책과 농촌정책을 아울러 ‘농정’이라고 하겠다. 2) 여기에서 ‘합리성’은 좁은 의미의 경제적 합리성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4 ❙ 중요하다. 즉, ‘어떻게’ 할 것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농정 연구는 대부분 바로 그 ‘수단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한편, 정책 수단이 목적에 아주 잘 들어맞는다고 해도, 농정의 목적 자체가 타당 성이 부족하다고 비판받는다면 쓸모없다. 그래서 농정의 목적 자체가 농정 연구 의 대상이 될 때도 있다. 무엇을 목적으로 농업·농촌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해야 합 리적이라고, 또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는가? 무엇을 그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가? 답하기 어려운 질문, 난문(難問)이다. 그렇기에 정책 과제를 도출하려는 물음은 끊 임없이 제기된다. ‘농업·농촌 정책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는 작업은 다각도로 진행 되지만, 크게 ‘정부의 농정 기획’과 ‘정책 연구기관의 농정 연구 기획’이라는 두 종 류의 계기를 통해 진행된다. 한편, 도출하려는 정책 과제가 장기적인 성격의 것인 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서, 혹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농업․농촌 정책 과제를 도출 하려는 종합적인 것인지 아니면 국지적인 수준에서의 도출 작업인지에 따라서 그 작업의 내용과 범위가 다르다. ‘정부의 기획’이라는 계기에 속하는 농업․농촌 정책 과제 도출, 그중에서도 농 정 영역 전체 또는 상당 부분을 포괄하는 종합적 수준의 과제 도출 작업이 근년에 몇 차례 진행되었다. 우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없이 긴급하게 출범한 문재인정 부는 짧은 기간에 농업·농촌 정책 과제를 설정해 추진하였다. 국정기획자문위원 회가 주관하여 2017년 여름에 “5개 국정 목표, 20대 전략, 100개 과제”를 정했는 데, 정책 과제의 명칭에서 농업정책 혹은 농촌정책임이 명시적으로 드러난 것은 3 개였다.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이라는 국정 목표를 실현하려고 설정한 3개 전략 중 하나인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 범주에 포함된 ‘누구나 살고 싶은 복지 농 산어촌 조성’, ‘농어업인 소득안전망의 촘촘한 확충’,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 기 반 조성’ 등의 정책 과제다. 이들 정책 과제 안에는 다시 여러 개의 세부 정책 과제 들이 편성되었다. 이후,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18~2022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의 전자상거래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에너지부, 중·대형 트럭 제로 배출(ZEV) 연구보고서 1도토리 정한솔
35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독일 재생에너지 확대 가속화 정책(부활절 패키지) 및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5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첨단 산업에서의 여성 참여 현황 1도토리 황세영
3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中 게임산업을 이해하는 4가지 키워드 3도토리 정한솔
35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 후어얼궈스차이티오우영상유한공사 1도토리 황세영
3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내 게임 출시 및 유통 현황, 법률체계 3도토리 황세영
35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태국 대중문화 콘텐츠에 나타나는 문화코드 - 드라마를 중심으로 1도토리 황세영
3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황세영
3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저성장의 함정에 빠진 중국 콘텐츠시장 3도토리 황세영
35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비디오게임 산업 현황 및 전망 1도토리 정한솔
35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애니메이션 판권 수출입 동향 및 법률체계 3도토리 정한솔
3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게임시장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OTT시장 동향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 1도토리 정한솔
3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호주 콘텐츠 산업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콘텐츠, 가상융합경제의 혈액이 되다 1도토리 강정훈
35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NFT 커지는 시장과 활용 1도토리 강정훈
3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친환경 소비시대, 부상하는 그린슈머를 공략하라! 7도토리 강정훈
351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메타버스, XR로 꽃피우다 7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