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7
용량 626.4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pdf 626.4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6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주요 내용 ▶ 최근 스리랑카 경제는 대외채무 증가 및 외환보유고 감소,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음. - [대외채무] 스리랑카의 외채는 2021년 3/4분기 511억 달러로 GDP의 62%까지 증가했으며, 이중 단기외채 비중은 2019년도 대비 3%p 증가한 18%를 기록함. - [외환보유고] 2018년 4월 사상 최고치인 90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지속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21년 11월 10억 달러까지 급감한 이후 2022년 1월 20억 달러까지 회복함. - [인플레이션] 2021년 12월 소비자물가상승률(NCPI)은 전년동월대비 14%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함. - 디폴트 우려까지 언급되면서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Fitch)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스리랑카의 국가신용 등급을 각각 CCC+ → CCC(2021.12.18), CCC → CC(2022.1.12)로 하향 조정함. ▶ 스리랑카 경제 불안정성의 확산에는 국채발행 증가, 관광산업 침체, 농산품 수급 불안정 등의 요인이 복 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됨. - 스리랑카는 인프라 개발 및 기존 외채 상환을 위해 중국 등으로부터 대규모 차관을 도입하였으며, 2019 년에만 44억 달러 상당의 국채(ISB)를 발행함에 따라 외채가 급격히 증가함. - 핵심 산업 중 하나인 관광산업은 2019년 부활절 연쇄 폭탄 테러,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침체하였으며, 이에 2021년의 관광수입은 2018년 대비 약 94% 감소한 2억 6천만 달러에 그침. - 2021년 도입된 유기농업 정책은 생산비용 증가 및 불확실성 증대로 이어져 2021년 10월 주요 식료품의 평균 도매가가 4~24%가량 증가하는 등 농산물의 생산, 수출입 및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침. ▶ 스리랑카 정부는 다방면의 조치를 단행하고 있으나, 현재의 경제위기는 경제 구조적인 문제와 코로나19로 인한 대내외 충격이 겹쳐 발생한 것이어서 즉각적인 개선을 기대하기는 어려움. - △만성적인 경상수지 적자 △대외채무 증가 △루피화 약세 등의 구조적인 취약성 문제가 지속 대두되는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관광업 침체 및 해외송금 유입액 감소 등은 정부의 관련 정책 시행만으로 신속한 회복을 기대할 수 없음. ▶ 한국은 ODA, 직접투자 등을 바탕으로 스리랑카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지속해온 가운데, 스리랑카 경제 동향을 긴밀하게 모니터링하여 선제적으로 지원 및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022.2.16.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스리랑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과 전망 3 KIEP 세계경제 포커스 2022.2.16. 1. 스리랑카 경제의 불안정성 확대와 배경 가. 불안정성 확대 ■ 최근 스리랑카 경제는 대외채무 증가 및 외환보유고 감소,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음. - [대외채무] 인프라 개발 관련 차관 도입과 기존 외채 상환을 위한 국채발행 등으로 스리랑카의 외채는 지속 증가하여 2021년 3/4분기 511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2~26년 지출해야 할 외채상환금은 총 260억 달러에 달함(그림 1 참고).1) ◦ GDP 대비 대외채무 비중은 2014년 54%에서 2019년 65%까지 급증한 이후 소폭 감소했으나, 2021년 3/4분기 62%로 상승 - [외환보유고] 2018년 4월 사상 최고치인 90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지속 감소 추세를 보이다 2022년 1월 20억 달러까지 증가했으나, 2021년 11월은 1993년 4월 수준인 10억 달러까지 급감함(그림 2 참고). - 2021년 9월 기준 스리랑카의 단기외채는 약 93억 달러이며, 총 외채 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15%에서 2021년 3/4분기 18%로 3%p 상승함.2) ◦ 외채상환부담률(DSR: Debt Service Ratio)은 2020년 기준 33.5%로, 2019년 29.7%에 이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이러한 상황으로 디폴트 우려까지 언급되면서 국제신용평가사인 피치(Fitch)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스리랑카의 국가신용 등급을 2021년 12월 18일과 2022년 1월 12일에 각각 CCC+ → CCC, CCC → CC로 하향 조정함.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석유화학산업 탄소중립 전략 및 정책적 대응방안 7도토리 이지훈
36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음식료 산업_불확실성의 대안, 필수소비재의 차례가 왔다 7도토리 이지훈
360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기업 혁신지원정책 고도화 방안 7도토리 이지훈
36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에 따른 ICT산업의 신성장전략 7도토리 이지훈
36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섬유와 제지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6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시멘트산업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 및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6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디스플레이산업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및 정책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600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한국 경제의 장기 성장 둔화 및 원인 7도토리 이지훈
359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9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96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9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9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92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8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