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부과제제안서] [미생물] 미생물 세포공장 첨단화용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51
용량 10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부과제제안서] [미생물] 미생물 세포공장 첨단화용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hwp 10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ㅇ 사업추진 배경

- 최근 바이오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합성생물학 분야는 의약품, 바이오연료, 환경기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미생물 유전체의 불필요한 유전적 요소를 제거하고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부분만을 남겨, 산업적으로 유용한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소유전체 혹은 합성유전체 미생물 플랫폼 구축이 가능
* 최소유전체 미생물 JCVI-syn3.0, 인공 효모 SC2.0, 코돈 재작성 인공대장균 등

- 글로벌 미생물 세포공장 인공유전체 IP 선점에 대응하기 위한 정교하고 정밀한 합성생물학 원천기술의 개발과 첨단화 요구

- 더불어 합성생물학 접근법을 통해 구축된 미생물 플랫폼 대사회로의 재설계 및 최적화로 비식용 바이오매스, 온실가스, 폐플라스틱 등 다양한 탄소원을 원료로 활용하여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세포공장 개발 수요 증대

- 이에, 유용 바이오소재 생산 등 다양한 기능의 인공유전체(합성유전체, 최소유전체, 인공세포소기관 등) 미생물 섀시 균주를 구축하기 위한 미생물 세포공장 첨단화용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 필요

 

ㅇ 관련 추진계획 및 중장기 전략

-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전략(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12): 합성생물학 육성으로 바이오제조 혁신역량 강화

-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과학기술정보통신부, 23.10):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인공세포 제작을 위한 6대 분야 핵심기술* 중점 확보

* 분자 단계(DNA/RNA 디자인, 단백질 설계, 대사경로 설계·제어), 세포단계(미생물 기반 화학소재,
동물세포기반 백신·치료제, 식물세포기반 대체식품)

세계 최고 대비 기술수준 (’20) 75% (’30) 90%로 도약, 세포개량 및 대사최적화 기술 등 우리의 강점 기술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고도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0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경제정책 방향과 농정 동향 3도토리 정한솔
80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계 주요 국가들의 소형 모듈식 원자로 관련 산업 현황 분석 13도토리 정한솔
800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캐나다, 전력시장의 개요 13도토리 정한솔
80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디지털 사회의 주요 이슈 종합 분석 7도토리 정한솔
800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소형 모듈 원자로의 발전 활용 현황과 전망 13도토리 정한솔
800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기업, 정보체계 현황 통계 보고서 13도토리 정한솔
800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정보화사회에 따른 노년층 디지털 격차와 요인분석 13도토리 정한솔
799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북한, 금융시장의 현황과 전망 분석 13도토리 정한솔
799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학술 APC 현황과 국가별 비교 분석 7도토리 정한솔
79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구 위기시대, 인구경영을 위한 데이터 산업의 현황 13도토리 정한솔
79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정보화 사회 정책의 과거와 시사점 11도토리 정한솔
79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중 경제적 갈등에 따른, 경제적 영향력 분석 11도토리 정한솔
79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디어 방송산업의 24년 결과 및 25년 전망 분석 13도토리 정한솔
79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협업 및 플랫폼 현황 분석 5도토리 노민우
79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데이터 사회에서의 불평등 사례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9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양자통신 관련 정책 현황과 전망 분석 5도토리 노민우
79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주요국가들의 25년 계획과 이슈 분석 9도토리 노민우
79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인공지능 가치 시대와 우리나라의 위치 13도토리 노민우
79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 마케팅 활용과 공공사회 적용 방안 7도토리 노민우
79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개발과제에 따른 정보통신 산업의 경제적 개발 영향 분석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