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중국 다이오드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85
용량 42.3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중국 다이오드 시장동향.pdf 42.3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9-26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시장규모 및 동향

 

다이오드는 핸드폰, 컴퓨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소비전자 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스마트제조, 스마트교통, 의료전자 등 신흥산업에도 광범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 다이오드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9.9% 증가한 978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조사되었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20년 잠깐 -3.1% 하락했다가 2021년에 들어서 다시 플러스로 전환됐으며 2022년에는1,024억 위안(약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017~2022년 중국 다이오드 시장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은 다이오드 제품의 국산화가 가속화 되고 있다. 미국의 반도체소자에 대한 무역제재와 코로나 19로 인한 수입산 다이오드 조달이 어렵게 되면서 국산화가 더욱 절박해졌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다이오드, 전자집적회로 등 반도체 관련 기업 기술역량 향상을 위한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중국 정부는 119개 사 반도체기업을 대상으로 총 149억1,100만 위안(약 2조 9,763억 원)의 기술개발 지원금을 지급했다.

 

또한 기업들도 제품 연구개발에 자금 투입을 늘리고 있다. 특히 SiC 분야에서 대다수의 대형 다이오드 기업은 연구개발 자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국산 다이오드 시장의 집중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다이오드 패키징 공정 기술은 중국이 전 세계에서 앞선 수준으로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수입동향

 

중국 다이오드 수입액은 최근 3년간 증가 추세이다. 2021년 기준, 수입액은 전년대비 26.6% 증가한 44억3661만1000달러(약 6조1057억 원)이다. 주요 수입국은 대만, 말레이시아, 일본, 태국, 한국 순이다.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 수입한 금액이 전체 수입액의 39%를 차지했다.

2021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22.3% 증가한 1억4325만8000 달러(약 1971억 원)으로 국가별 수입액 5위를 차지했다.

 

경쟁기업

 

중국은 쟝수성(江苏省),저장성(浙江省), 광둥성(广东省) 3개 지역에 중국 전체의 약 66% 다이오드 생산기업이 소재한다. 중국산 다이오드는 가격경쟁이 심하고 주로 중저가 제품으로 시장 포지션을 잡고 있다. 둥관증권(东莞证券)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중국 다이오드의 수출 평균 단가가 0.0138달러로 수입 평균 단가 0.0191달러에 비해 현저히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요 다이오드 생산기업은 화룬웨이전자(华润微电子), 양지예과기(扬杰科技), 졔졔웨이전자(捷捷微电子), 스란웨이전자(士兰微电子), 화웨이전자(华微电子) 등이 있다.

중국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주요 해외브랜드는 Vishay, ROHM, Onsemi, infineon, NXP, TOSHIBA 등이 있다. 한국산 브랜드는 LG, SAMSUNG, KEC, DAWIN등이 있다.

 

 

<중국 다이오드 주요 생산기업>

기업명

대표 제품

소개

화룬웨이전자

(华润微电子)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苏省)

- 설립연도: 2002년

- 특징: 당사는 2020년에 상장했고, 중국 다이오드 생산기업 중 생산규모가 1위임.

양지예과기

(扬杰科技)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苏省)

- 설립연도: 1998년

- 특징: 당사는 2014년에 상장했고, 생산 제품은 주로 소비전자제품, 공업자동화 제어, 자동차전장, 신생에너지 등 분야에 활용되고, 내수가 75%, 수출이 25%임.

졔졔웨이전자

(捷捷微电子)

- 기업소재지: 쟝수성(江苏省)

- 설립연도: 2010년

- 특징: 당사는 2017년에 상장했고, 주로 일본, 한국, 스페인, 싱가포르 등 국가에 수출중임.

스란웨이전자

(士兰微电子)

- 기업소재지:저장성(浙江省)

- 설립연도: 1997년

- 특징: 당사는 2003년에 상장했고, 생산한 제품은 주로 가전제품, 공업자동화 제어, 신에너지자동차, 태양광 발전 등 분야에 활용됨. 판매방식은 100% 내수임.

화웨이전자

(华微电子)

- 기업소재지:지린성(吉林省)

- 설립연도: 1999년

- 특징: 당사는 2001년에 상장했고, 기술직원이 전체의 30%를 차지하며 제품기술 향상에 노력을 기울임. 생산한 제품은 자동차전장, 전력전자, 태양광 발전, 공업자동화 제어 등 분야에 활용됨.  

[자료: .phb123(排行榜123网)및 각 업체 홈페이지 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0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 지금까지 이런 자동차는 없었다 9도토리 강정훈
50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9월 은행 금리: 조달 경쟁으로 신규 수신금리 급등 1도토리 강정훈
50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023 년 신냉전으로 투자확대 지속 9도토리 국준아
50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KT, 백석 미디어 센터 및 그룹 미디어 밸류체인 설명회 개최 3도토리 국준아
50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지주/제약바이오분야_SK가 가고자 하는 길 9도토리 국준아
50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주회사분야_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 점검 5도토리 국준아
50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50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5도토리 국준아
50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7도토리 국준아
50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2023년 전망 시리즈 9도토리 국준아
50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선가 지표 힘겨루기 중이나 약세로 전환할 것 7도토리 국준아
505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나이지리아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박민혁
505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반도체분야_베트남 감광성 반도체 디바이스와 발광다이오드(LED) 시장 동향 3도토리 박민혁
505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자동차분야_체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1도토리 박민혁
50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30~2040 새로운 소비시장, 일본 웰니스 시장 1도토리 박민혁
50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동력엔진차량 배기가스 처리 산업동향 5도토리 박민혁
50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기술 주도권 확보 전략 및 대응 방안 - 미국·중국·EU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 9도토리 노민우
50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클라우드-네이티브 에지 컴퓨팅을 활용한 DNA 기반 X+AI 서비스 실증 5도토리 노민우
50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네트워크 자동화 오픈 플랫폼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04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신규 수입관리제도(SIRA) 도입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