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한반도 평화구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1
용량 1.3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한반도 평화구축.pdf 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07 
출처 : 국회미래연구원 
페이지 수 : 20 

[목 차]

 

요약
Ⅰ. 서론
Ⅱ.디아스포라와 한반도
Ⅲ.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한반도 평화
Ⅳ. 결론
참고문헌

 


평화유지(peacekeeping), 평화협정(peacemaking), 평화구축 (peacebuilding)

◦고질적 갈등을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일상적 차원으로 구현하는 평화과정(peace process)은, 분쟁지역에 대한 평화유지 사업(peacekeeping), 갈등당사자들 간 협정 등 제도적 장치의 합의(peacemaking), 그리고 직접적 폭력을 넘어서서 구조적·문화적 폭력을 극복하고 제도와 규범, 문화를 전환하는 평화구축(peacebuilding)을 포괄함 ‑ 세계의 다양한 평화과정의 부침에서 드러나는 바, 평화과정은 협정의 체결 이후에도 분쟁 이후의 국면에서 계속해서 작동하는 기존의 고질적 갈등의 구조·문화의 발본적 전환을 위한 부단한 노력, 분쟁후 평화구축(post-conflict peacebuilding)이라는 지난한 과정을 필요로 함 ◦고질적 분단, 갈등을 지속하는 사회에 만연한 갈등의 구조를 전환하는 평화구축의 작업은 궁극적으로 일상적 수준에서 사람들의 화해와 상호 이해, 존중에 바탕한 점진적이고 장기적 통합의 과정을 포함함 ‑ 종족(소수민족), 종교, 식민, 계급 등 다양한 사회적 균열을 바탕으로 역사적 갈등과 분열을 지속해온 사회에서 평화구축은 갈등당사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현저한 격차에 대한 제도적 개입과 함께 사람들의 인식, 문화적 차원의 전환을 동반해야 함 ‑ 다양한 평화과정의 사례에서 확인되는 것은 평화협정 이후, 즉 제도적 차원의 안정적 평화의 정착 노력 이후 행위자들의 상호 인식의 변화, 평화문화로의 전환이 자동적으로 수반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임1 ‑ 따라서 평화구축의 과정은 평화의 제도화와 병행하여 어떻게 일상의 영역에서 갈등하는 집단들 간의 관계적 전환에 도달할 것인가에 대한 끊임없는 소통과 교류, 교육을 필요로 하며 궁극적으로 새로운 협력적, 통합적 정체성, 새로운 공동체적 서사의 형성을 동반해야 함 ◦사람들 사이의 인식적 전환, 일상적 차원의 문화적 전환을 의미하는 평화구축을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중장기적 목표로 설정한다면, 우리 사회 내부, 우리 사회를 넘어선 한반도 권역과 그 너머에서 새로운 종류의 관계맺음, 평화공존의 일상적 기반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 본 연구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구조적 차별과 적대, ‘타자성’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체화하는 디아스포라의 존재와 그들이 역사적 갈등, 고질적 분열을 지속해온 사회의 평화구축에 갖는 함의를 탐색함 ‑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위치와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본 연구는 평화구축이 의미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 문화적 전환을 준비하는 데서 어떤 근본적인 상호 이해와 존중, 새로운 정체성의 형성이 필요한가를 드러낼 것임 ‑ 본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평화구축에 함의를 갖는 세 가지 사례를 살피고 각각의 특수한 사례로부터한반도 중장기 평화구축이 참조해야 할 교훈을 추출함 ‑ 본 연구는 기존의 한반도 평화과정 연구에서 초점을 맞춰왔던 중단기적 평화적 제도화의 해법이 아니라 중장기적 시야에서 평화적 제도화와 병행하여 추구되어야 할 인식적, 문화적 전환으로서 평화구축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짐

 

화면 캡처 2022-11-24 153000.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52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52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뇌전이암 치료가 어려운 이유 3도토리 국준아
52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주간 제약 및 바이오 산업 1도토리 국준아
52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52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52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522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022년 하반기 산업입지정책동향 3도토리 국준아
52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521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52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521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521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52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52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521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52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52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520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52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