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클라우드 사업자들이 MSP에 힘을 쏟는 이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17
용량 627.8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터넷분야_클라우드 사업자들이 MSP에 힘을 쏟는 이유.pdf 627.8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9 

클라우드 MSP 가치 상승 전망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loud Service Provider, CSP)라고 불리우 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의 기업이 있는 반면, 클라우드 관 리 서비스 제공자(Managed Service Provider, MSP)의 역할을 하는 기 업도 존재한다. 우리는 이런 대형 클라우드 사업자들 속에서 성장 잠재 력을 나타내고 있는 MSP 기업들에 주목해야 한다고 판단한다. 대형 업체들이 만들어주고 있는 시장 성장 환경은 개별 서비스의 수요 증대 로 이어지고, 이를 통해 장기 매출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들이 투자 대 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IT서비스 업체들의 진입 이와 같은 클라우드 전문 MSP 기업들이 주도해 오던 MSP 시장에 삼 성SDS와 LG CNS, SK C&C 등 대기업 SI 업체들도 적극 진출하고 있 다. SI 기업들은 여전히 개별 기업의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관리 하는 SI와 ITO(IT아웃소싱) 용역의 비중이 상당하지만, 주력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해 MSP 역할과 매출 비중을 확대할 나간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소수의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가 장악하고 있는 CSP 시장은 대규모 설비투자에 기반한 규모의 경제에 따른 가격경쟁력이 중요하지 만, MSP 시장은 고객이 속한 업종에 대한 이해와 노하우가 핵심이 될 수 있다. 따라서 SI 기업들은 기존 자사 주요 고객 업종에 대한 이해도 가 높다는 점이 경쟁력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무한경쟁 시작, 주도권은 어디로 향후 국내 MSP 시장은 선점 업체들의 지배력이 더욱 확대되는 동시에 자본력을 확보한 대기업들의 지분투자 움직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한다. 또한 업체간 과열 경쟁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도 예상된다. 현재 도 MSP 사업자의 수익성이 좋은 편이 아님에도 MSP 시장에 진출하 는 업체가 늘어나면서 경쟁 과열을 피할 수 없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시장 성장속도가 빨라 신규 진입자가 기존 업체들과 경쟁하는 것은 쉽 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AWS 1위를 이어 네이버, KT, NHN이 차지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글로벌 업체인 아마존(AWS)이 압도적인 점유율로 1위를 지키고, 국내 업체들은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체력을 키워나가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AWS 규모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고, 그 뒤 네이버, KT, NHN 3사가 경쟁하고 있다. 내년 공공 클라우드 전환 예산 4배 증가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공공 부문 클라우드 전환 관련 예산으로 약 2400억 원을 투 입할 계획이며, 이는 지난해 대비 4배 증가한 수준이다. ‘25년까지 총 8700억 원의 예산 이 투입되면서 공공기관의 클라우드 전환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따라 관련 기업들에 새로운 사업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는 단지 전환/운영 사업 을 하는 서비스형에만 해당하는 예산이며, 공공센터구축/업무시스템 구축 분야까지 감 안한다면 더 큰 규모의 전환 사업이 예상된다. 먼저, 보안성이 취약한 공공 정보시스템을 2025년까지 민간·공공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내년까지 50%, 2025년까지 100% 클라우드 전환을 달성한다는 목표 다. 한국판 뉴딜 2.0 일환으로 관련 예산이 늘어난다면 그만큼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 드 도입 비중이 상승할 여지가 생긴다. 국내 업체에 수혜 국가안보, 수사·재판 및 내부행정업무 처리 등 주요한 국가정보시스템은 보안기능이 강 화된 공공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로 이전하고, 공개용 홈페이지 등 정보자원의 효율적 활용이 우선시 되는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 민간 업체는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을 받은 KT, NAVER, NHN, 삼성SDS, LG CNS 등이 해당되며, 아마 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보안 인증을 받지 않은 다국적 클라우드 기업들의 경우 협 의체에 참여할 수 없다.

 

화면 캡처 2022-12-06 13170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4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소기업을 위한 ESG 정책 및 규제 대응 핸드북 7도토리 국준아
524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중동 아프리카 8개국을 중심으로 한 2022 국가별 보건산업현황 9도토리 국준아
524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유럽 10개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별 보건산업 현황 보고서 9도토리 국준아
52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헬스케어 데이터의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법 7도토리 국준아
524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블록체인 데이터 유통 모델 활성화 방법 9도토리 국준아
524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 거시경제 추세의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가계의 자산, 부채에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국준아
524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0-21년 상하이 저작권산업보고서 분석 3도토리 국준아
52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ICT 융합 표준 프레임워크 9도토리 국준아
523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 지분 매각 제도 개견 5도토리 국준아
52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인플레이션 감축법으로 본 미국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정책의 심층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국준아
523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다른 FTA와의 비교를 통해 RCEP의 의미와 베트남 시장 진출 운용 전략 도출 7도토리 국준아
52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해외 주요국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서비스 고도화 사례 5도토리 국준아
52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위한 싱가폴 사례 5도토리 국준아
52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상표의 활용 및 심층분석 5도토리 국준아
523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하반기 외국인투자 관련 관세정책 동향 3도토리 국준아
523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시진핑 집권 3기 중국 경제정책 경향 7도토리 국준아
523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중동 주요국의 식량안보 정책 트렌드와 진출방안 9도토리 국준아
5229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52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