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통신서비스 산업 전환 지원금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1
용량 571.04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통신서비스 산업 전환 지원금 현황.pdf 571.0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7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전환지원금 경쟁 격화

 

전환지원금 경쟁상황이 생각보다 격화되고 있다. 3월 16일부터 3사 가 지급을 시작한 전환지원금은 지급 규모와 지급
단말기의 종류가 단기간에 늘어나면서 예상 대비 빠른 경쟁 양상이 펼쳐지고 있다. 첫날 5~13만 원에서 시작했던 전
환지원금 규모는 최대 33만 원까지 늘어났으며, 지급 단말기의 종류도 SK텔레콤 10개 -> 30개 / KT 27개 -> 33개 / LG유플러스 9개 -> 22개까지 늘어나면서 16일 첫 고시 후 23일까지 일주일 새 벌써 4차례나 기종과 요금제에 상황을
업데이트했다.


전환지원금 상향은 고가요금제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 ‘전환지원금 지급 실시 영 향 분석분석’(3/18일 발간발간)에서
예상한 Base 케이스에서의 지원금 평균값은 20만 원이지만 이미 20만 원 수준 에 근접했을 것 으로 예상한다. 통상 신규
구매 시 n개월 무제한 요금제 가입 후 하위 요금제 로 전환하기 때문에 초기 가입자들의 대부분이 전환지원금을 최대로
받고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전환지원금은 6개월 요금제 유지 조건이 일반적인데, 고가 요금제 경우 12만 원 이용 후 8만 원 요금제 변경 가정 시 24만 원이 BEP 수준이 된다. 한편 5~6만 원 중저가요금제의 경우 추후 요금제 변경 가능
성이 적기 때문에, 큰 폭의 지원금 상향은 통신사 입장에서 부담이 크다.


3월 말부터 시행됐기 때문에 본격적인 번호이동 수요 파악은 4월 이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최신 기종에 대
한 전환지원금 상향을 대기하는 수요도 있을 것으로 생각해 3사 간의 치킨 게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 초
기 번호 이동 규모가 파악되고 전환지원금 지급 기종에 대한 모니터링 후 연간 실적 추정치에 반영할 예정이다.


통신 본업에서의 노이즈가 발생할수록 비통신과 B2B사업의 중요도는 높아질 것이라는 관점을 유지한다. 3사중에는 비
통신 포트폴리오가 가장 풍부하며, 전체 매출에서 무선사업 매출 비중이 28%에 불과 한 KT가 가장 본업에서의 감익을
방어하기 용이할 것으로 판단한다.

 

통신시장 구도 제대로 살펴보기


2024년 1월부터 통신 통계에서 휴대폰 회선 수와 IoT 회선 수가 분리돼 발표되기 시작했다. 작년 9월 LG유플러스가
KT의 전체 이동통신 회선 수를 제친 것과 관련해 집계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된 조치로 생각된다.
국내 핸드셋 회선 점유율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각각 41%, 24%, 19%며 알뜰폰이 16%를 차지하고 있다. 각 사별 5G 침투율은 MVNO는 3%에 불과하며, KT가 73%로 가장 높다(SK텔레콤 68%, LG유플러스 65%).

 

알뜰폰 시장 내에서 핸드셋 점유율은 KT와 LGU+가 40%로 비슷한 수준이다. 알뜰폰 시장은 당분간 소강상태에 접어
들 것으로 생각한다. 1) MNO 전환지원금 경쟁으로 MVNO 이동의 효용가치가 낮아졌고, 2) MVNO 프로모션 주기가
1월로 마감됐기 때문이다. 다음 번 교체주기 도래는 5~7월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

 

스크린샷 2024-04-09 16305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9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사료내 동물용 의약품 사용기준 연구 5도토리 노민우
809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빅데이터 활용 신규 치료 기술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9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빅데이터 활용 신규 진단 기술개발(분야2 정서장애) 3도토리 노민우
808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빅데이터 활용 신규 진단 기술개발(분야1 발달장애) 3도토리 노민우
808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바이오센서 기반 대규모 신규 바이오부품 소재 고속탐색 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8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바이오데이터 기반 생합성 최적경로 설계 플랫폼 구축 및 유용소재 고함량 식물자원화 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86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래감염병 신속대응을 위한 핵심 기술분야 도출 및 신규사업 상세기획 연구 5도토리 노민우
8085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미래 감염병 대유행 대비 이종모델-네트워크 활용 전임상 플랫폼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8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무세포 기반 고감도 바이오센서 장비 및 분석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로봇 보안취약점 점검 및 보안모델 개발 9도토리 노민우
808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난분해 탄화수소 고부가화를 위한 고효율 효소-광촉매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8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기초타겟 발굴 및 검증 3도토리 노민우
808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균사 기반 친환경 섬유 복합체 제작 기술 개발 7도토리 노민우
807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국가 감염병 RnD 성과관리 고도화 및 개선방안 연구 7도토리 노민우
807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고부가 터펜류 천연화합물의 생산을 위한 고도화된 식물 플랫폼 개발 3도토리 노민우
807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VRFB 바나듐 전해액 성능 평가 7도토리 노민우
807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자동차산업 기업맞춤형 훈련로드맵 개발 7도토리 노민우
8075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공고]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공모 9도토리 노민우
807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바이오산업본부 AAALAC-I 인증 획득 컨설팅 7도토리 노민우
807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ICT 시험인증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1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