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56
용량 1.26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 하반기 국제 원유 시황과 유가 전망.pdf 1.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1-01 
출처 : 에너지경제연구원 
페이지 수 : 74 

<목 차>

 

1. 수요 동향 및 전망

2. 공급 동향 및 전망

3. 재고 동향

4. 원유가격 동향 및 전망 

 


⊙ 2022년 상반기 국제 원유시장은 2020년 3분기부터 시작된 수요 초과(공급 부족) 상황이 1분기까지 계속되다가 2분기 들어 중국의 수요 감소 등으로 수요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되면서 공급 과잉으로 전환됨. - 세계 석유수요는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이면서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5.1백만b/d 증가한 99.3백만b/d를 기록했으나 2분기에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백만b/d 증가에 그친 97.8백만b/d를 기록함. - 세계 석유공급은 OPEC과 비OPEC의 공급이 1분기에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4백만b/d와 3.0백만b/d 증가하며 98.6백만b/d를 기록했고 2분기에는 러시아의 생산 감소 등으로 OPEC과 비OPEC의 공급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4백만b/d와 1.3백만b/d 증가하며 98.9백만b/d를 기록함. - OECD 상업용 석유재고는 2022년 5월 기준 2,691백만 배럴로 전년 동월에 비해 241백만 배럴 감소했으며, 과거 5년(2017~2021년) 평균에 비해서는 303백만 배럴(10.1%) 적은 양임. ⊙ 국제 원유가격은 두바이유 기준으로 2022년 1분기에 $95.59/배럴, 2분기에 $108.08/배럴을 기록하여, 2021년 4분기의 $78.37/배럴(2021년 연평균은 $69.41/배럴)에서 빠른 속도의 상승세를 보임. - 2022년 상반기 유가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그에 따른 서방국의 러시아 제재, 생산목표(생산한도)를 미달하는 OPEC+ 생산, 낮은 수준의 세계 석유재고 등을 들 수 있음. - 미국 등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의 전략비축유 방출, 세계 경기 침체와 석유수요 둔화 우려, 달러화 강세 및 원유 선물시장의 투기성 자금 유출 등은 유가의 추가 상승을 억제함. - 세계 석유수급이 2분기 들어 수요 초과에서 공급 과잉으로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수준의 세계 석유재고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공포 프리미엄’은 국제 유가의 상승세를 2분기까지 지속시킨 요인이 된 것으로 보임. ⊙ 향후 국제 원유가격은 두바이유를 기준으로 2022년 하반기에 $99.66/배럴(연간 $100.75/배럴), 2023년 상반기에 $94.70/배럴로 전망됨(기준유가 시나리오). - 2022년 하반기 유가는 세계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석유수요 증가세 둔화로 공급 과잉이 나타나면서 상반기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나 산유국의 여유 생산능력 부족과 낮은 석유재고 수준으로 하락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2023년 상반기 유가는 세계 석유수요가 계절적으로 둔화되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 산유국들의 꾸준한 생산 증가가 러시아의 생산 감소분을 상쇄함에 따라 2022년 하반기 유가보다 다소 낮게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2022년 하반기 및 2023년 상반기 유가는 세계 석유수요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하거나 이란 핵 협상 타결로 이란에 대한 원유수출 제재가 해제되는 경우 수급 밸런스에 변화가 나타나면서 추가 상승 또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됨(고유가 및 저유가 시나리오).

화면 캡처 2022-12-06 13593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67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러시아 과학기술 월간 현황 3도토리 노민우
526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IP 기반의 방송 미디어 제작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52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 상상과 스마트 TR 글래스 3도토리 노민우
526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MPI 집합 통신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현황 3도토리 노민우
526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봇을 위한 멀티에이전트 협업 기술 현황 3도토리 노민우
526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동적 환경 로봇 이동지능 기술의 동향 3도토리 노민우
526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AI와 국제규범 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한 영국의 디지털 정책 3도토리 노민우
52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진능 산업의 VC 투자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52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벤처기업 2022년 실태조사 9도토리 노민우
525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지역별 수출 전망 및 시장 여건 7도토리 노민우
5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학습용 데이터의 파급효과 연구 9도토리 노민우
52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 증권사의 외국환업무 현황과 그에 따른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5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 면세점업의 투자 전략 1도토리 노민우
5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남미의 신재생 에너지 진출전략 9도토리 국준아
5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식시장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5252 성장동력산업 [동향분석] 세림 B&G의 친환경 분야 성장세 지속 1도토리 국준아
52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손해보험: DB손보, 현대해상, 한화손보 3도토리 국준아
5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에셋 전략 3도토리 국준아
524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산업 정책 동향_ 12월 워싱턴 주간 브리핑 3도토리 국준아
5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테이블 코인의 위험과 정책 과제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