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일본 Cobot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6
용량 50.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일본 Cobot 시장 동향.pdf 5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0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시장 동향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의 일본 국내의 협동로봇 시장규모는 출하대수를 기준으로 3136대였고, 금액 기준으로 108억6100만 엔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출하대수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3694대로 나타났다. 2020년은 미중 무역마찰의 영향 및 세계적인 서플라이 체인에 있어서, 반도체 등의 부품 부족이 생산 활동에 끼친 영향이 표면으로 드러났다. 동시에, 코로나 감염증의 확산 방지를 위한 이동이 제한되었던 것으로 인해 로봇의 설치 등에 관한 영업활동이 어려웠다.

 

수요자는 일손부족이나 감염증 예방을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의 유지, 생산안정화를 향한 BCP 대책 등, 협동로봇의 도입을 통한 자동화의 니즈가 높았음에도, 경기 악화로 인하여 설비투자에 주저함이 있었던 것도 시장 저조의 배경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업계별로 보면 반도체 등의 디지털 분야, 식품, 화장품, 의료품 산업 쪽은 견고하게 성장했음에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쪽은 큰손 고객들의 부품 부족 등의 원인으로 생산 계획이 미뤄지는 문제로 협동로봇의 도입이 감소했다. 2020년 가을 이후는 점차적으로 시장의 수요가 회복되었음에도, 한 해를 통틀어 봤을 때는 전년을 밑도는 결과가 되었다. 2021년은 점진적으로 수요가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업계 내 도입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입 동향

 

협동로봇이 포함된 산업용 로봇(HS Code 8479.50)의 2022년 일본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5.94% 증가한 85억4000만 엔을 기록했다. 최대 수입국가는 중국으로 2022년 수입액이 약 26억 엔 규모로 전체 시장에서 31%를 차지했다. 2위 수입국은 덴마크로 수입액은 14억 엔 규모로 2021년과 대비 27%로 크게 증가했다. 한편, 대한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9억5000만 엔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HS Code 8479.50 기준)>

(단위: 천 엔,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전체

8,926,636

8,061,738

8,540,799

-

-

-

5.94

1

중국

1,770,528

2,934,588

2,624,509

20%

36%

31%

-10.57

2

덴마크

853,153

1,157,168

1,466,696

10%

14%

17%

26.75

3

대만

2,105,487

1,053,538

959,897

24%

13%

11%

-8.89

4

한국

657,843

840,239

951,423

7%

10%

11%

13.23

5

미국

714,524

496,217

579,908

8%

6%

7%

16.87

6

폴란드

873,456

320,904

482,040

10%

4%

6%

50.21

7

독일

403,381

293,650

409,602

5%

4%

5%

39.49

8

프랑스

557,455

73,074

174,803

6%

1%

2%

139.21

9

영국

216,415

53,741

186,096

2%

1%

2%

246.28

10

캐나다

65,578

167,506

180,067

1%

2%

2%

7.50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4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체코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4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중남미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4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중국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4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일본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4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인도네시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4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이집트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김민성
624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이스라엘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김민성
624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이라크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김민성
623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유럽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김민성
623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우즈베키스탄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김민성
623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요르단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3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오스트리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오만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에티오피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민준석
62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에콰도르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3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알제리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민준석
623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프리카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제르바이잔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2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민준석
622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랍에미리트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