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통한 농업 정책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0
용량 1.28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통한 농업 정책 분석.pdf 1.2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10-3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1 

2024 미국 대선 개요

 

두 달여 남은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 카멀라 해리스 對 도널드 트럼프 대결


● 미국 대통령 선거(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는 동부 표준시(EST) 기준 2024년 11월 5일에 실시 예정이며,

    이를 통해 4년 임기의 대통령과 부통령이 선출됨.
 

● 민주당(Democratic Party)의 대통령·부통령 후보는 카멀라 해리스(Kamala Harris)와 팀 왈즈(Tim Walz)이며,

    공화당(Republican Party) 측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와 J.D. 밴스(J.D. Vance)가 대통령·부통령 후보로 나섬.
   

선거 판세는 여전히 박빙, 경합 주 표심이 대선 결과 좌우 전망
 

● 양당의 선거 판세는 여전히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이며, TV 토론 및 선거자금 규모 등의 영향을 고려할 때 남은 기간 박빙이 예상됨.
 

● 경합 주는 펜실베이니아(PA), 조지아(GA), 노스캐롤라이나(NC), 미시간(MI), 애리조나(AZ), 위스콘신(WI), 네바다(NV) 등이며,        경합 주 선거 결과가 2024년 대선 결과를 좌우할 전망임.
 

● 또한 민주당을 선호하는 젊은 층과 유색인종의 투표 성향으로 미루어 볼 때 이들 유권자의 투표율도 선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

 

대선 키워드는 ‘인플레이션’, ‘이민’, ‘이스라엘’, ‘낙태’, ‘총기 규제’, ‘기후변화’ 등


● 전통적으로 미국 대선에서는 외교·안보 등의 대외적 이슈보다 경제 등 국내 정치 이슈가 선거 판세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해 옴.

     일각에서는 2024년 미국 대선의 쟁점으로 ‘I3A1’이라고 표현되는 인플레이션(Inflation), 이민(Immigration),

     이스라엘(Israel), 그리고 낙태(Abortion)를 강조함.
● 인플레이션에 대한 위험은 대선에서 중요한 이슈임. 인플레이션 개선에 대한 기대는 정치에 대한 관점과 거주지역에 따라 다름.

    일반적으로 민주당 지지자는 공화당 지지자에 비해 인플레이션 개선에 대해 더 낙관적이며,

    도시가구에 비해 농촌가구가 더 민감함. 특히 식품 가격은 소비자와 유권자에게 중요한 정치적 이슈임.

   Gardner Food and Agriculture Policy Survey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지지자들은 공화당이 스스로 식품 가격을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반면,

   해리스 지지자들은 양당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함.

   이 같은 관점에서 미루어 볼 때 대선에 있어서 유권자들의 식품 및 농업에 대한 문제의식은 중요한 이슈라고 판단됨.

 

 

 

 

 

 

 

 

 

---------------------------------------------------------------------------------------------------------------------------------------------------------

 

 

 

 

 

 

 

 

 

 

미국의주.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7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글로벌 이슈 한번에 파악하기 7도토리 정한솔
77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자동차 부품 산업의 현황 분석 11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통한 농업 정책 분석 5도토리 강정훈
77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현재 조선산업의 현황과 미래전망 분석 7도토리 강정훈
776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디지털 서비스 산업의 변화와 현황 7도토리 강정훈
77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산업용 로봇의 감소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
77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산업의 디지털화로 인한 건출기술 분석 5도토리 노민우
77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캐릭터 업계의 소요 현황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7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저온 세라믹 기술 분석 및 파악 5도토리 노민우
775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4년 미국, 식품의약국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7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대한민국 정보 보호 실태 현황 조사 13도토리 노민우
77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오픈소스로 인한 기술발전과 기업의 발전성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7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10월 주요 사건 분석 7도토리 노민우
77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전세계 게임업계 조사 및 나라별 발전 전략 7도토리 노민우
77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기술발전을 통한사회적 상호작용 분석 11도토리 노민우
77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필수 국가에 대한 승인 표준안 발표 5도토리 황세영
77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전기 자동차의 공급장치 인증제도의 제정안 분석 5도토리 황세영
77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인공지능 생성에 대한 라벨링 표준안 발표 5도토리 황세영
77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가정용 주방기기와 관련 제품 에너지 효율에 대한 개정안 분석 7도토리 황세영
77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인공지능 생성 및 합성의 라벨링 관리에 대한 지침 분석 5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