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2023년 과학기술 연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56
용량 40.09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2023년 과학기술 연감.pdf 40.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6-2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94 

1. 추진배경


1964년 정부 예산 1,207억 원 중 1.66%인 20억 원에 불과하였던 R&D예산은 2008년 10조 원을 초과하였고, 정부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5% 내외로 확대되었다. 경제・사회 발전과 함께 심화된 과학기술의 복잡다기성에 따라 정부는 R&D투자의 전략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관점에서 시책을 수립하고 시행하여 왔다.

 

첫 번째 「정부 R&D 혁신방안」은 2015년 5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정부 R&D투자가 연평균 8.7% 증가(’06년∼’15년)하고,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인력이 연평균 7.7% 증가(’05년∼’13년)한 가운데, ‘전략 없는 R&D 투자 확대’에 따른 ‘혁신의 위기’를 문제점으로 진단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Fast-Follower형 R&D, 정부-민간 간, 산・학・연 간, 부처 간, 출연연 간 영역 충돌과 협업 부족, 출연연・대학의 시장을 외면한 나홀로 연구, 공급자 중심의 복잡한 평가・관리체계, 정부의 컨트롤타워 기능 미흡 등을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정부R&D가 First-Mover형 R&D로 근원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였다.

 

두 번째 R&D 혁신방안은 2016년 5월, 대통령이 주재하는 과학기술전략회의를 통해 발표되었다. 압축성장 시대에 유효했던 추격형 R&D전략은 기술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민간의 역량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한계에 이르렀음을 명문화하였다. 민간 R&D에서 개발연구 비중이 70%에 달하나 정부 R&D도 개발연구 비중(48.9%)이 높아 민간과 중복되고, 정부 과제 수주를 위한 무한경쟁으로 산・학・연 주체 간 차별화가 부족하며, R&D예산 배분 방식이 부처별 요구에 따른 Bottom-up 방식으로 국가 차원의 전략성이 미흡함을 문제로 지적하고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R&D 시스템의 근본적 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과제로 방안을 구성하였다.

 

 

 

--------------------------------------------------------------------------------------------------------------------------------------------------------

 

 

 

과학기술연감.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2023년 과학기술 연감 13도토리 류지원
7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보스턴 바이오텍과 신약 개발 현황 5도토리 류지원
74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본의 로봇 시장·기술 동향과 로봇 인재 육성 방안 7도토리 류지원
742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과학기술 공공연구조직의 연구행정 효율성 5도토리 류지원
74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사회규범 - 새로운 사회계약과 디지털 권리장전 5도토리 류지원
7424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VR Agent 외국어 교사를 활용한 학습의 몰입 융합 효과 7도토리 류지원
7423 성장동력산업 [연구분석] 챗GPT는 우리에게 어떤 우려를 초래하는가 7도토리 류지원
742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스페인 원자력발전전 정책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류지원
74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약품 개발 시 AI 활용 안내 7도토리 박민혁
7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웨어러블 전자소자용 고분자소재 5도토리 박민혁
741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액체금속 기반 신축성 전극 소재 기술 5도토리 박민혁
7418 생명공학/바이오 [연구분석]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 5도토리 박민혁
741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연구비 지원 기관, 편향과의 전쟁 5도토리 박민혁
741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정부·민간 분야 인공지능 투자 동향 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41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코로나19 이후 디지털정부 이슈와 주요 과제 9도토리 박민혁
741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내외 디지털정부 평가모델의 비교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박민혁
741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4년 2분기 2차전지 최근 기술 및 특허 동향 7도토리 박민혁
741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4년 하반기 분야별 달라지는 주요 제도 13도토리 김민성
741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자동차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
741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3년 반도체 인력양성 사업 성과분석 및 만족도 조사 1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