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47
용량 2.0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pdf 2.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6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바이오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글로벌 바이오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면서, 바이오산업이 사회 경제적 효과를 본격적으로 창출하는 바이오경제 시대1)가 시작되고 있다. 바이오경제를 구성하는 바이오산업은 크게 Red바이오산업(보건·의료 분 야), Green바이오산업(식량·농축수산식품 분야), White바이오산업(환경·에너지 분야)으로 구분된 다. 이들 3대 바이오산업은 바이오기술을 활용하 여 인구 증가 및 고령화, 기후변화와 자원고갈 등 전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지 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핵심산업이 며, 세계 각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 다. 바이오기술 혁신과 바이오산업에서 창출되는 1) ‘바이오기술에 의한 새로운 발견들이 관련 제품의 보급이나 서비스의 향 상을 통하여 인류에 편익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바 이오경제의 사회적 파급효과는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OECD(2009), “The bioeconomy to 2030”. 바이오경제의 개념은 과 같다. 이러한 바이오경제시대의 도래를 이끈 환경에 는 4차 산업혁명, 고령화 추세 등 여러 가지 요인 이 다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다양한 환경 요인 중에서도 공급 측면의 기술혁신과 수요 측면의 시 장 확대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선, 바이오경제 공급 환경에서는 무엇보다 도 바이오기술 혁신의 영향이 매우 크다. 다양 한 바이오기술 중에서도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이 급속 히 발전하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의 유 전체를 빠르고 값싸게 읽어낼 수 있게 되었다. 이 렇게 생성된 바이오정보는 유형(有形)의 바이오자 원인 생물체를 디지털화하고 바이오산업이 디지 털 전환되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 명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기술은 바이오정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신약과 새로운 의료서비스를 1.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에서 창출되는 바이오경제 자료: 저자 작성.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66 K I E T 산 업 경 제 개발하면서 보건의료체계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즉, 바이오기술 혁신으로 대량 생산된 바이오정 보가 인공지능기술 등 정보통신기술과 융합되는 바이오·디지털 융합 혁신이 바이오산업 생태계 전체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바이오경제에 대한 수요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수요 요인은, 전 세계적 인 인구 고령화와 보건의료 수요의 다양성 확대 이다. 특히 인구 고령화로 인한 보건의료 비용의 증가는 세계 각국이 당면한 문제이며, 한국은 세 계 최고 속도인 고령화와 국가 의료비 부담 증가2) 에 보다 적극적·효율적으로 대응하여야 할 시점 이다. 항노화와 맞춤형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관련 세계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바이오경제, 특 히 보건의료 분야의 글로벌 수요가 빠르게 증가 2) 한국의 GDP 대비 의료비 비중은 2020년 8.4%이며, 2010~2020년 간 연평균 증가율(CAGR) 3.6%로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 고 있다.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SHA (검색일: 2022. 2. 7). 하고 있다. 그 결과, 제조업 관점의 세계 보건의 료산업 규모는 2020년 기준 2조 달러 이상이며 2014~2020년에 연평균 5.6% 성장하였다. 특히 디지털기술이 융합된 디지털헬스 분야와 체외진 단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성장세 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2021년 이후 더욱 강 화되었다( 참고). 바이오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보건 의료 분야(57%)뿐 아니라 식량·농축수산식품 분 야(13%), 환경·에너지 분야(13%), 서비스 분야 (17%) 등 바이오경제 전 분야에서 성장세가 예상 되면서,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은 2021~2027년 에 연평균 7.7% 확대될 전망이다.3) 이러한 성장 세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전 세계가 당면하 고 있는 감염병, 고령화, 식량안보와 기후변화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이 크 게 증가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바이오산업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58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
35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장민환
357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 1도토리 장민환
357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5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바이오연료 3도토리 황세영
357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357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6G 통신 기술 3도토리 황세영
35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1년 하반기 태양광산업 동향 1도토리 황세영
357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아세안 5G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3도토리 장민환
35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K콘텐츠 수출의 경제효과 3도토리 장민환
357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과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6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지능형 자율자동차 통신 보안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568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AI 시대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이슈 1도토리 장민환
3567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블록체인, 웹3.0 기술 생태계 동향 1도토리 장민환
356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주요국의 새로운 의료기기 관리와 분류체계 조사 연구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