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8
용량 1.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국내 제조업의 혁신투자.pdf 1.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8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본고에서는 혁신 및 혁신투자의 개념을 정의하고, 혁신투자 유형화를 시도하여 제조업 기업들의 유 형별 혁신투자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국내 제조업 기업들의 혁신투자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한다. 혁신은 ‘기업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전, 경쟁 및 차별화하기 위해 새롭고 향상된 것을 제시하는 과 정’으로 정의하고 혁신투자는 ‘혁신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지출’로 정의하도록 한다. 혁신투자는 R&D 투자, 마케팅투자, 지식재산투자, 인재개발투자, 소프트웨어투자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업종 유형별(ICT, 기계, 소재) 혁신투자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제조업 기업들의 혁신투자 규모는 업종 유형에 상관없이 2001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 으며, 2010년 이후에는 매출액 대비 비중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혁신투자는 소 수 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기계 부문에서 혁신투자 불균형 구조가 가장 심각하게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에서 대부분의 혁신투자는 R&D투자로 나타났으며 기계 부문에서 R&D 집중현상이 가장 두드러 졌다. 반면 비R&D투자 내 혁신투자는 점점 다양화되는 추이를 보였다. 제조업 기업들의 혁신투자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혁신투자에 대한 필요성을 제 시하고 다양한 혁신투자에 대한 인지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R&D투자가 혁신투자로 대표되는 인식 에서 탈피하여 사회 변화에 따른 다양한 혁신투자가 활성화되는 토대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R&D 에만 집중된 혁신 관련 정책지원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혁신은 과학 분야뿐 아니라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어 왔고, 시대와 상황 에 따라 그 정의가 변화해 왔다. 대량생산 및 상품 화가 이루어지던 시기의 혁신은 신제품을 개발하 는 ‘제품혁신’이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공정혁 신’ 등 기술적 혁신을 의미했으나, 사회가 점점 다 변화되면서 혁신의 개념도 다양화되어, 새로운 마 케팅 전략을 제시하는 ‘마케팅혁신’이나 업무처리 방식을 변화하여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는 ‘조직혁 신’ 등과 같은 비(非)기술적 혁신에 대한 개념이 등 장하였다. 혁신에 대한 논의는 최근 사회·경제 구 조의 변화와 함께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친환경 경제로의 이 행,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 속에서 신산업 분야에 의 선도적인 역할의 발판을 위한 혁신성장의 중요 성이 강조되면서,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끌 다양한 혁신투자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전까지 한국경제의 혁신투자는 R&D 투자로 대표되어 왔고, 정부 정책 역시 R&D투자 의 양적 확대를 목표로 하여왔다. 그 결과 2019년 한국은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4.6%에 달 하며 OECD 국가 중 이스라엘 다음으로 높은 수 준을 기록하였으며1), R&D투자 규모 또한 주요 국에 비해 상당히 빠르게 확대되어 왔다.2) 그러 나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R&D 투자 효율 1) OECD, https://data.oecd.org/rd/gross-domestic-spending-onr-d.htm(검색일: 2022년 2월 11일). 2)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의 총투자 대비 R&D투자 비중의 증가율 은 4.6%로 미국(1.5%), 일본(1.2%), 독일(2.0%), 영국(0.5%)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성이 감소한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시대적 변 화와 맞물린 새로운 혁신투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데이터 경제, 수소 경제, 스마트 스쿨, 그린 에 너지 사업 등 정부에서 내세우는 혁신성장 산업들 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개발뿐 아니라 소프트웨 어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투자, 새로운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양성, 기술사업화와 시장에서 가치 를 인정받기 위한 브랜드가치 창출 등에 대한 투 자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R&D투 자를 제외한 다양한 혁신투자에 대한 기업의 인 식은 부족한 상황이며, 제조업 기업들에 대한 정 부 지원 역시 R&D투자에만 집중되어 있다. 이 러한 상황은 오히려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투자 를 저해하여 투자의 비효율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효과적인 정책을 위해서는 현재 기업들의 혁신 투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 여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 에서는 혁신 및 혁신투자의 개념을 정의하고 혁신 투자 유형화를 시도한 후, 국내 제조업 기업들의 유형별 혁신투자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혁신투자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1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버 전력효율성 평가를 위한SPECpower 벤치마크 소개와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1도토리 나혜선
360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구조조정에 대한 가이드북 7도토리 나혜선
36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구조조정에 대한 가이드북 7도토리 나혜선
360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상하원 대중견제법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60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EU 미-일본 철강 관세 면제 합의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36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의 경제적 영향 측정 방법론 사례와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0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우리 수출기업의 친환경 소비트렌드 대응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360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中 봉쇄조치에 시나리오별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60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탈중앙화 신원관리 서비스 모델 1도토리 민준석
360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및 이슈 분석 3도토리 한상윤
3599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자율주행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MI)의 기술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59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공장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및 기술동향 3도토리 한상윤
35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조흑연 소재산업의 동향과 기술개발 및 방향 1도토리 한상윤
35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액체수소 저장용 소재 기술개발 및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5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뉴노멀시대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5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 아세안 주요국별 디지털화 전략 1도토리 한상윤
35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인공지능 관련 소프트웨어 시장과 국제표준 동향 1도토리 정한솔
35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ICT 벤처기업 스케일업 활성화에 대한 방안 1도토리 정한솔
35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시티(Smart City)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