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3
용량 1008.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 및 고용 중심으로.pdf 1008.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7 
출처 : 한국저작권협회 
페이지 수 : 13 

1. 들어가며1) 미국 특허청(USPTO)은 올해 3월에 ‘지식재산과 미국 경제(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U.S. Economy: Industries in Focus)’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이 보고서는 지식재산 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자료로 지적재산 집중산업의 미국 국 내 총생산량, 고용에 대한 산업기여도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보고서는 지식재 산과 미국경제 대한 세 번째 보고서로 첫 번째 보고서는 2012년에 발표되었다. 첫 번째 보고서에는 지식재산 집약산업에 대해 정의하고, 미국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국내총생산 (GDP)을 추정하여 발표하였다. 두 번째 보고서는 2016년에 발표되었으며 2012년 보고 서 내용 중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경제적 측정 방법을 보완하여 발간하였다. 올해 세 번째 로 발간한 이번 보고서에는 2019년 지식재산 집약산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기존 보고 서의 측정방법 등을 보완하였으며 지적재산 집약산업의 미국 국내총생산(GDP) 및 고용 에 대한 산업기여도, 고용 특성 및 근로자의 특성 등을 담고 있다. 이 글은 올해 3월 발표 한 ‘지식재산과 미국경제’ 보고서의 내용 중 저작권 분야의 내용들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2.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생산과 고용 (1)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 2019년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국내총생산은 약 7조 8천억 달러이며, 2014년 대비 8천 억 달러 증가하여 12.1% 증가하였다. 지식재산 집약산업 중 저작권 집약산업의 국내총생 산은 1조 3천억 달러로 2014년 대비 2천억 달러, 22.9%로 증가하였다. 저작권 집중산업 의 2014년 대비 증가폭은 전체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2014년 대비 증가폭 보다 10%로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미국 특허청(USPTO)의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U.S. economy: Third edition”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였음. 보고서와 관 련된 내용은 에서 확 인하실 수 있음. 2022년 미국 특허청 “지식재산과 미국 경제” 보고서1) 지식재산 산업의 생산과 고용 중심으로 이슈리포트 | 산업ㆍ경제 위은해 (한국저작권위원회 통상산업통계팀 선임) COPYRIGHT ISSUE REPORT 2022-12 COPYRIGHT ISSUE REPORT 2022-12 2 (2)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고용효과 지식재산 집약산업은 미국 고용의 중요한 부분으로 지표 측정방법은 직접고용과 간접 고용이 있다. 직접고용은 지식재산 집약산업으로 분류되는 업종의 고용을 말하며 간접고 용은 집약산업 이외의 업종으로 분류되지만 지식재산 집약산업과 연관된 고용을 말한다.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직접고용은 총 4,721만 개이고, 간접고용은 1,548만 개로 나타났으 며 이 중에서 저작권 집약산업의 직접고용은 659만 개, 간접고용은 191만 개로 나타났다. (3) 생산량 및 고용 비율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국내총생산은 전체산업의 41%로 나타났으며, 그중 저작권 집약 산업은 7%로 나타났다.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고용기여도는 지식재산 집약산업이 전체산 업의 33%로 나타났으며, 그중 저작권 집약산업은 4%로 나타났다. 비지식재산 산업의 국 내총생산은 고용점유율보다 작지만, 지식재산 집약산업의 국내총생산이 고용점유율보다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지식재산 집약산업이 비지식재산 산업보다 고용생산성이 높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USPTO estimates using data from the Bureau of Economic Analysis and Bureau of Labor Statistics 3. 지식재산 집약적 고용 (1) 분야별 고용 지식재산 집약산업을 구성하는 분야별 고용구성을 살펴보면, 지식재산 집약산업과 비 지식재산 산업의 고용구성에 차이가 있다. 지식재산 집약산업은 도·소매 무역 분야 고용 이 24%로 가장 높았으며, 제조업 22.6%, 전문, 기술, 관리 및 행정서비스는 21.4%로 상 위 3개 부문이 지식재산 집약산업 전체 고용의 6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648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64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
36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 부상 1도토리 조현상
364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 1도토리 조현상
36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디지털 기술패권 경쟁 7도토리 조현상
36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64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바이든 행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글로벌 기업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6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6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6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63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6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6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6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6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6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6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