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미-EU 미-일본 철강 관세 면제 합의 내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7
용량 469.2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미-EU 미-일본 철강 관세 면제 합의 내용과 시사점.pdf 469.2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Ⅰ. 배 경 □ 美 상무부, EU산에 이어 일본산 철강 232조 관세 면제 합의 발표(2.7) ◦ 작년 10월, 美-EU 당국은 EU산 철강 232조 관세 면제를 조건으로 對美수출물량을제한하는 쿼터(할당)제 채택에 합의한 바 있음. - 미국은 연간 EU산 철강 330만 톤, 일본산 125만 톤 수입까지 관세(25%) 면제□ 동 보고서는 ⒧ EU․일본 관세 면제 합의 내용, ⑵ 232조 관세 시행 이후 미국의철강 수입 동향, ⑶ 현지 전문기관의 평가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Ⅱ. EU/일본 철강 232조 관세 면제 합의 내용 □ (EU) ’22.1월부로 일정 쿼터까지 관세를 면제하는 ‘관세할당제도’(Tariff Rate Quota) 발효◦ (대상) 연간 쿼터 물량은 330만 톤이며, ‘15~’17년 대미 수출 수준으로 결정- 대상 품목은 총 54개 철강 제품군 (HS코드 분류 기준으로 807개*) * HS 7206.10~7216.50, 7216.99~7301.10, 7302.10, 7302.40~7302.90, 7304.10~7306.90 및 하부품목전체◦ (자격) EU 내에서 ‘제강된’(melted and poured) 철강 제품에 한하며, 규정 위반 시미국 국내법에 따라 관세 부과 및 벌금 처분 가능 ◦ (관세) 쿼터 내 수입은 232조 관세(25%)에서 면제, 쿼터 초과 물량에는 기존 관세 부과◦ (면제) 이미 232조 관세 면제 절차에 따라 자격을 득한 제품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이 무관세를 유지하고, 해당 수입분은 이번 쿼터에 미포함 * 미국은 관세 면제 절차를 거친 약 110만 톤 EU 철강 수입에 관세 면제 중(’23년 말까지) ◦ (관리) 분기당 쿼터 최대 4%에 한해, 1분기 미소진 쿼터는 3분기로, 2분기 미소진물량은 4분기로, 3분기 미소진 물량은 다음 해 1분기로 이월 가능 - 美 정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분기별 쿼터 소진 및 이월 현황 정보 공개 예정◦ (조정) 美 정부는 매해 국내 철강 수요 증감에 기초하여 쿼터 조정 검토- 미국 내 철강 수요(’21년 기준)가 6% 이상 증감할 경우, 다음 해 철강 수입 쿼터를(+/-) 3% 범위에서 조정. 철강 수요 증감이 6% 이하면 현행 쿼터 유지◦ (협의) 美 정부는 4.1일을 시작으로 3개월마다 쿼터 검토를 시행하고, EU 측의 요구가 있을 경우 쿼터 미소진 해결을 위한 협의 진행 ◦ (알루미늄) 16개 제품군의 연 1만 8천 톤 수입(‘18~’19년 수준)까지 10% 관세 면제- 기타 조건은 상기 철강 쿼터 합의 내용과 유사 □ (일본) 4.1일부로 일본산 철강 수입에 대해 ‘관세할당제도’(Tariff Rate Quota) 발효◦ (대상) 연간 쿼터 물량은 125만 톤(‘18~’19년 대미 수출 물량 평균) ※ 나머지 기타 조항(자격, 관세, 면제, 관리, 조정, 협의)은 EU 합의 내용과 유사 ◦ (알루미늄) 해당 제품의 관세 면제 조항 미포함 < 미-EU․미-일본의 232조 관세 면제 합의 내용 비교 > 구분 EU 일본 쿼터 물량 330만 톤 125만 톤 쿼터 산정기준 ‘15~’17년 수준 ‘18~’19년 수준 대상 54개 철강 제품군 좌동 면제 기존 면제 물량은 쿼터에서 제외 구체 언급 無 쿼터 이월 분기별 가능 분기별 가능 조정조항 수요 증감에 따라 조정 수요 증감에 따라 조정알루미늄 관세 면제 - [자료] 미-EU․미-일본 철강 232조 관세 합의문 (저자 정리) Ⅲ. 232조 관세 후 미국의 철강 수입 영향 분석 □ (전체) ’21년의 미국 철강 수입량은 2,960만 톤으로 관세 시행 전(’17년) 대비 14.6%↓◦ 232조 관세 시행(’18.6.1) 직전 ’17년 대비 ’20년 철강 수입은 최대 42.2% 감소- 급속한 경기회복에 따라, ’21년 미국 철강 수입은 전년 대비 48% 급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5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성장전략 전환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7도토리 조현상
36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무역수지 적자 평가와 전망 1도토리 조현상
3648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추억의 레트로, 미래 금융에서 비긴어게인 1도토리 조현상
3647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기업구조조정시장의 플레이 메이커, 사모펀드 1도토리 조현상
36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일하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시대, 원격 리더십 부상 1도토리 조현상
364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새로운 정부 디지털자산 정책...위기일까 기회일까 1도토리 조현상
364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국제통상환경의 변화,디지털 기술패권 경쟁 7도토리 조현상
364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금리인상 및 한국의 정책대응 1도토리 조현상
3642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바이든 행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 및 글로벌 기업 동향 7도토리 조현상
36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공유·연계를 통한 디지털 사회 발전 및 시사점 3도토리 조현상
36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핵융합 R&D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63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포용적 혁신성장 기반 선도적 선진경제 확립을 위한 정책방향 1도토리 노민우
363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의 스마트제조혁신 정책 분석 및 주요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中,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공장 가동 중단, 글로벌 공급망 타격 1도토리 이지훈
36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삼성전자, 6세대 이동통신 비전 제시하며 리더십 추구 1도토리 이지훈
363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박사후연구원의 현황 및 지원사업 분석 3도토리 이지훈
36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신용평가(TCB) 기반 중소기업 기술혁신역량 진단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6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구글 2022 HW 생태계 확장 본격화 1도토리 이지훈
36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 활성화의핵심 과제 및 정책 제언 3도토리 이지훈
3631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D.N.A 기반 스마트 양식 정책 방향과 기술 표준화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