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사우디, 6월 12일 99개 품목 관세 인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6
용량 614.0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사우디, 6월 12일 99개 품목 관세 인상.pdf 614.0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기존 0~20% 관세, 0.5~15% 인상폭 적용

농수산품, 화학제품 기계류에 집중, 수출 영향 우려

 

관세 인상 배경

 

사우디가 지난 6월 12일 갑작스럽게 99개 품목에 대한 관세인상을 단행했다. 사우디 국세청은 지난 6월 12일 홈페이지를 통해 수입품목 관세인상 리스트를 게시하고 게시일부터 즉결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사우디는 2020년 6월 대대적인 수입관세 인상을 통해 기존 0~20%이던 관세를 평균 5.5~25%까지 적용했는데, 이를 통해 사우디 내 해당 관세 인상 관련 제조업에의 투자가 증가해 2021년 말까지 약 997억 달러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사우디 정부는 자국산업 보호 및 육성이라는 이유를 명시했지만, 내부적으로는 2020년 관세 인상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고 이번 관세 인상을 통해 추가적인 국가 재정수지 개선, 수출 증대 및 민간부문의 GDP 기여도 상승 등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세 인상 주요 내용

 

품목별 기존 0~20%의 관세율은 5.5~25% 수준으로 인상했다. 지난 2020년 관세 인상과는 다르게 이번에는 농수산품과 일부 화학제품, 기계류에 집중된 모습을 보였다. 전체 99개 품목 중 9개 품목만이 2021년 수출 실적이 있다는 점에서 전반적인 수출에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전선, 플라스틱, 에어컨 등 현지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주요 수출품의 관세가 증가함에 따라 수출기업의 피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선제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관세 인상이 결정된 전체 99개 품목 중 가축, 동물 및 채소류, 동·식물성제품, 가공품 등 농수산제품 및 식음료에 해당하는 품목이 62개로 전체의 62.6%를 차지하며 인상 폭 역시 최대 15%에 달하는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정부에서 이번 조치를 통해 현지 농업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화학제품, 플라스틱·고무 등 사우디 내 주요 산업 중 하나인 석유화학산업에서도 20개에 달하는 품목을 0.5~1.5% 인상하면서 주요 수출입품목에 대한 보호에 들어감을 알 수 있다.

 

시사점

 

사우디는 지난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국가재정의 불균형을 타개하고자 대대적인 관세 인상을 단행했다. 철강, 프로젝트 기자재, 가전제품, 석유화학, 섬유 등이 인상품목에 포함된 바 있다. 당시 수출 1위였던 수송기기가 마지막 조정과정에서 제외됐지만 주요 품목의 수익률 감소가 불가피했다. 그리고 이후 부가세도 기존 5%에서 15%로 단행하며 현지 물가 상승 및 내수시장 위축 등이 겹치며 수출기업의 피해가 컸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