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5
용량 691.4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IPEF(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출범에 대한 일본 현지 반응.pdf 691.4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6-16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2022년 5월 23일, 미국 주도 IPEF(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공식 출범

타 무역협정과 가장 큰 차이는 ‘관세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점’

 

5월 23일, 일본 기시다 총리와 하기우다 경제산업부 장관은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에 대한 참여 의사를 표명했다. 이후, 6월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IPEF 무역 분야에 관한 비공식 각료급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히로세 경제산업심의관이 등이 참석하여 참가국 간 협력과 균형 잡힌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IPEF 개요

 

IPEF는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의 약자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를 의미하며 미국 주도로 ’22년 5월 23일 공식 출범한 다자 경제협력체이다. ‘22년 6월 14일 기준 IPEF 경제협력체 참가국은 미국, 한국, 일본, 인도,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호주, 피지*로 총 14개국이다.

    주*: 미국 정부, 피지가 새롭게 IPEF에 참가해 14번째 참가국이 되었다고 발표(’22.5.26.)

 

IPEF 회원국의 총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60%, GDP는 전 세계 GDP의 약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IPEF는 향후 회원국 간 경제협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PEF는 ① 무역, ② 공급망(서플라이체인), ③ 인프라·탈탄소, ④ 탈세·반부패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참가국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IPEF는 CPTPP나 RCEP과 달리 참가국 간 관세 철폐나 관세 인하 협상을 하지 않는 부분이 주목할 점인데 이로 인해 IPEF를 ‘느슨한 연계’로 보는 시각도 있다.

 

현지 언론 동향 및 반응

 

IPEF가 타 무역협정과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이 ‘관세에 대한 논의가 없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IPEF에 참가해도 참가국은 대미 수출을 확대하는 혜택은 누릴 수 없다. IPEF의 한계점에 대해 IPEF의 4개 주요 논의 분야에서 회원국 간 국제 협조가 안정적으로 이뤄진다면, 이를 토대로 앞으로 더욱 실효성 있는 경제협력체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는 의견도 있다.

 

한편 시노다 쿠니히코 정책연구대학원 교수는 ‘환경, 인권 문제에 관해 IPEF 참가국 간 이루어지는 논의 내용은 신흥국 등의 경제활동에 있어 큰 제약이 될 가능성이 있다. 미국 시장 개방 등의 혜택이 없으면 신흥국이 참가하는 인센티브는 줄어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노무라 종합 연구소 칼럼에 따르면 ’일본이 미국 주도의 IPEF에 참여하는 것은 중국을 자극하여 일본과 중국 간 경제환경 및 관계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미국과도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03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렉시트 1년, 영국 경제 및 EU관계 전망 1도토리 민준석
402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배터리 분야_이차전지 공급망 확대 전망에 따른 호주 핵심광물 행보 1도토리 민준석
402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2022년 스웨덴 친환경 정책 동향 1도토리 민준석
402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덴마크,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녹색에너지 확대 필요성 증가 1도토리 민준석
402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유통 분야_베트남 물류시장의 극복과제와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체코 경제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정책 방향, 유럽 그린딜 주요 정책의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에티오피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하이난 자유무역항 정책과 비즈니스 기회 1도토리 황세영
402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 스위스 경제분야 주요 이슈 및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2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상하이 2021년 경제실적 및 지방양회 결과 1도토리 황세영
401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EU 디지털, 경제·통상 주요 정책 동향과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8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지방 양회로 본 2022년 중국 경제 9대 관전 포인트 1도토리 황세영
4017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만 예산안과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6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도 루마니아 경제 전망 1도토리 황세영
4015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브라질에 부는 스마트시티 열풍 1도토리 안소영
401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중국 경제정책 방향 및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그린에너지 분야_일본 물류업계, 공급망의 디지털화·탈탄소화 구축 노력 1도토리 안소영
4012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인도네시아 주요 전망 1도토리 안소영
401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2022년 오스트리아 경제 전망 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