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우리나라의 항공교통은 저가항공 출범 및 해외 항공 여객 수요의 증가에 따라 비약적 발전을 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2007년 대비 여객수가 104% 증가하였다. 코로나19라는 전 세계적 팬데믹으로 2020년도 항공 여객 수는 국제선의 경우 2019년도 대비 약 84%, 국내선은 약 24% 감소하는 큰 변화 를 가져왔지만[1], 백신의 개발 및 국제적 여행 완 화 조치에 2020년도 4월 대비 당해년도 4월 국제선 은 16.4%, 국내선의 경우 147.8%로 상승을 보여주 고 있다[2]. 이처럼 우리나라 항공교통은 주요산업 중 하나로 과거와 달리 많은 데이터가 수집되고 있 고, 항공교통량의 증가로 인한 사고 및 안전장애 발생률의 증가로 선제적으로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항공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UN 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부속서(Annex) 19 ‘안전 관리(Safety Management)’에 의하면 항공안전관리체 계(SMS: Safety Management System)란 항공 서비스 제공자가 항공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 안전정책 수 립 및 이행, 위험관리 절차 수립 및 이행, 안전 관 련 책임/임무 정의에 있어 과학적이고 시스템적인 관리 및 이행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 며, 항공안전데이터와 정보의 수집, 분석, 공유 등 을 통하여 사전예방형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 영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3]. 항공안전관리체계(SMS)의 이행성숙도는 사고 및 준사고와 같이 사고 발생 후 원인을 조사하는 사후적 관리단계, 주요 사고 유발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관리하는 선제적 관리단계, 그리고 사고 를 사전에 예측하여 관리하는 예측적 관리단계로, 사후적 관리단계에서 점차 항공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을 예측하는 관리체계로의 발전 을 목표로 하고 있다[4]. 즉, 데이터 기반 항공안전 관리 기술은 궁극적으로 항공시스템 전반에서 생 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직접적 사고 원 인과 아직 드러나지 않은 잠재적 위해요인을 식별 하고 관리함으로써 항공안전을 증진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미국·EU 등 항공 선진국의 경우 항공안전에 관 한 사전적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수집 및 공유 등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데이터 분 석을 통하여 증거 기반 항공안전관리 정책을 수용 및 이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1년 5월 국토교통부에서는 데이 터 기반의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한 항공 사고 예방 을 위하여 ‘항공안전데이터분석센터’를 운영한다 고 발표하였다[5]. 이는 과거의 저장 용량의 한계,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관 간 데이터 공유의 부재, 데이터 규격의 비정형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빅 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분석에 따른 항공안전사고 사전 예측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항공운항에서 안전사고 사전 예측 에 활용 가능한 항공데이터 종류 및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데이터를 활용한 항공안전 위험 요인을 도출할 수 있는 비행 단계 및 위험요인 이 벤트 분석기술 개발 동향에 대하여 살펴본다. 항공 이벤트 분석은 전통적인 분석 방법인 통계적 분석 으로부터 데이터의 빅데이터화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분석에 대한 적용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항공운항 중 항공위험상황 및 안전사고 정보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항공안 전 관련 데이터에 대하여 살펴보고, 데이터의 특징 을 정리한다. Ⅲ장에서는 항공안전 위험요인 이벤 트에 대하여 살펴보며 방대한 양의 데이터 중 위험 상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항공안전 이벤트를 기 반으로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고 위험상황 분석 가능 데이터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Ⅳ장에서 는 항공데이터 기반 안전 이벤트 분석기술 적용 동 향과 기술 개발 방향을 정리한 후 Ⅴ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Ⅱ. 항공안전 관련 데이터 항공안전 관련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 시스템이 다양하며, 또한 수집된 데이터의 관리기관 및 데이 터 종류가 다양하다. 각 수집데이터 관리기관별 데 이터 수집 내용 및 시스템에 대하여 일부를 살펴보 면 국토교통부에서는 NARMI와 ADAMS 시스템 등 다양한 수집 시스템을 통해 안전의무보고, 비 행검사 관리, 관제업무 관찰 기록, 항공교통 안전 장애 데이터 등을 관리하고, 교통안전공단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