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ITU-R의 협대역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분배 연구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08
용량 290.5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ITU-R의 협대역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분배 연구 현황.pdf 290.5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0 

Ⅰ. 서론 최근 스마트 미터링, 스마트 로드, 스마트 파밍 및 스마트 선박 분야 시장에 글로벌 규모의 IoT 서 비스 제공을 위하여 군집 비정지궤도 위성을 이용 한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에 필요한 신규 주파수 분 배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ITU-R 연구에서 위성부문 IMT와 4~16GHz 대역에서의 신규 광대 역 이동위성업무용 주파수의 요구사항에 대한 연 구만 수행되었고, 5GHz 대역과 같은 기존 이동위 성업무용 주파수 대역의 경우, 위성 크기, 무게 및 전력 제약으로 적절치 않거나 이 외 대역의 경우, 이미 기존 업무의 사용으로 인해 주파수 이용이 포 화되는 등의 이유로 위성사업자들은 국제적으로 협대역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신규 주파수 분배를 요구하게 되었다[1]. 이에 따라 WRC-19에서 제1지역 CEPT(유 럽) 및 제2지역 CITEL(미주)의 협대역 이동위성 업무 주파수의 추가 분배를 위한 연구 제안으로 WRC-19 결의 248이 개발되고 이 결의에 따라 협 대역 이동위성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동위성업무 의 주파수의 요구사항 및 잠재적 신규 할당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WRC-23 의제 1.18이 도출되었 다[2]. 본고는 WRC-23 의제 1.18과 관련된 결의 248 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의 신규 주파수 할당 연구를 수행하는 ITU-R WP4C 에서의 연구 현황을 소개한다. 특히, 본 연구에는 각국 정부 대표뿐만 아니라 EchoStar, Omnispace 및 Sateliot 등 위성사업자들이 참여하고 있어 이러한 사업자들의 서비스와 시스템 개발 동향 등을 살펴 보고자 한다. 본 분석 내용은 우리나라 군집 비정 지궤도 위성망을 위한 신규 주파수 확보와 기존 지 상 업무의 보호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Ⅱ. WRC-23 의제 1.18 WRC-23 의제 1.18은 WRC-19 결의 248에 따 라 향후 협대역 이동위성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동 위성업무의 주파수 요구사항 및 잠재적 신규 할당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의제이다. 연구 수행 시 필 수적으로 따라야 하는 WRC-19 결의 248의 후보 주파수 대역과 주요 전송제원 관련 결의 사항을 분 석하고자 한다. 고려해야 하는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용 신규 주파 수 대역은 결의 248에 지역별로 1,695~1,710MHz (제2지역), 2,010~2,025MHz(제1지역), 3,300~ 3,315MHz 및 3,385~3,400MHz(제2지역) 등 4개 의 후보 대역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협대역 이 동위성업무의 시스템 특성과 스펙트럼 및 운영 요 구사항 연구 수행 시 고려하거나 따라야 하는 전송 제원은 다음과 같다[2]. • 상하향 각 스펙트럼 5MHz 이하 고려 • 우주국 위성의 경우, e.i.r.p. 최대 27dBW • 위성 안테나 빔폭 120도 이하 • 지구국의 경우, e.i.r.p. 최대 7dBW • 지구국 전송 시간은 15분마다 4초 이하 위의 내용과 함께 주요 연구 내용으로 후보 및 인접 대역의 기존 업무 보호 관점에서 협대역 이동 위성업무의 새로운 할당이 적합한지 결정하기 위 한 공유 및 양립 가능성 연구와 그 결과를 기반으 로 협대역 비정지 이동위성업무에 필요한 기술적 조건과 함께 기존 업무 개발에 과도한 제약 없이 후보 대역 및 인접 대역의 기존 1순위 업무를 보호 하는 신규 1순위 또는 2순위 주파수 할당을 고려하 는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먼저 후보대역은 우리나라가 포함되어 있 는 제3지역을 제외한 유럽이 포함된 제1지역 38 전자통신동향분석 제36권 제6호 2021년 12월 및 북미, 남미가 포함된 제2지역에서 후보 주파 수 대역이 정의되었다. 제2지역의 후보 대역인 1,695~1,710MHz 대역은 기상위성용으로 글로벌 하게 할당되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는 협대역 short-duration 형태의 데 이터 전송 특성을 갖는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와 기 상위성업무 간 공유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 고 있다[1]. 유럽이 포함된 제1지역 후보대역인 2,010~2,025MHz 대역은 이미 북미 및 남미가 포 함된 제2지역에서 이동위성업무용으로 할당되어 이용되고 있는 대역으로 본 대역이 제1지역에 이 동위성업무용으로 할당될 경우, 글로벌하게 동일 한 주파수 이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WRC-19 결의 248에서 언급된 필요 대역 폭은 지상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 및 지상 단말 을 관리하는 용도의 저속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경 우, 잠정적으로 상하향 5MHz 이하이면 충분할 것 이라고 보고 있다. 공유 연구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우주국 e.i.r.p.의 경우, 최대 27dBW로 제 약함으로써 기존 업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 도록 하였으나 본 결의에서는 본 수치가 주파수 대 역별인지, 시스템별인지, 또는 위성체별인지 등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Ⅲ. 의제 1.18 관련 ITU-R 연구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용 신규 주파수 분배 연구 의제인 WRC-23 의제 1.18과 관련된 ITU-R 연구 는 ITU-R WP4C 연구반이 책임그룹으로 작업 일 정을 논의하고,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의 스펙트럼 소요량 및 시스템의 특성과 타 업무 간의 주파수 공유/간섭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논 의된 모든 연구 활동 및 결과는 CPM 보고서(안) 개 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WRC-19 이 후 2020년 5월 회의를 시작으로 현재 시점(’21.9월) 까지 정기회의 및 교신그룹 회의(CG)를 각각 4회 를 진행하였으며 이슈 사항에 대한 정보교환을 위 해 1회의 비공식 회의를 가졌다. 1. 작업 일정 WRC-23 의제 1.18 관련 ITU-R WP4C 연구 일 정(’21.7월 업데이트 자료)은 ’22.10월까지 관련 보 고서 및 권고서 개발을 완료하고 WRC-23 회의에 대응하도록 하고 있다[3]. 특히 올해 7월까지 공유 및 호환성 연구의 기본 자료가 되는 협대역 이동위 성업무의 스펙트럼 요구사항 및 시스템 특성 파 라미터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일정으로 논의되었 다. WRC-23까지의 작업 일정은 다음과 같이 요 약된다. • ’21.7월: 스펙트럼 요구사항 및 시스템 특성 파라미터 연구 결과 도출 • ’21.10월: 공유 및 호환성 연구 완료 • ’22.5월: CPM 보고서 작업 완료 • ’22.10월: 보고서 및 권고서 개발 완료 • ’23년 WRC-23 회의 전: WP4C 연구 완료 및 SG4 채택 및 승인 관련 문서 송부 2. 스펙트럼 소요량 및 시스템 연구 협대역 이동위성업무의 요구 스펙트럼 산출 및 시스템 특성 파라미터 연구와 관련하여 독일, 캐나 다 및 EchoStar, Omnispace, Sateliot 등에서 제안한 총 8개의 시스템이 제안되었다[4]. 본 작업에서의 요구 스펙트럼 산출은 IMT의 소요 주파수 산출 방 식이 활용되었으며, ’21.7월 회의까지 총 8개 시스 템 중 7개 시스템에서 제안된 시스템 특성 파라미 터들의 적용 값 범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59 성장동력산업 양자컴퓨팅 소프트웨어 최신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158 성장동력산업 항공안전데이터 및 분석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157 성장동력산업 드론 원격 식별 규정 및 표준화 동향 분석 1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ITU-R의 협대역 이동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분배 연구 현황 1도토리 나혜선
2155 성장동력산업 방송 코어 망(BCN)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54 성장동력산업 5G 모바일 네트워크의 Industrial IoT 표준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53 성장동력산업 완전동형암호 연산 가속 하드웨어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52 성장동력산업 Siamese 네트워크 기반 영상 객체 추적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51 성장동력산업 고성능 분산 합의 알고리즘 동향 분석 1도토리 박민혁
2150 성장동력산업 NPU 반도체를 위한 저정밀도 데이터 타입 개발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149 성장동력산업 CCIX 연결망과 메모리 확장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148 성장동력산업 대규모 디바이스의 자율제어를 위한 EdgeCPS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47 성장동력산업 휴먼이해 인지컴퓨팅 기술 연구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46 성장동력산업 불법 드론 대응을 위한 저고도 드론 탐지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45 성장동력산업 멀티모달 센서 기반 실외 경비로봇 기술 개발 현황 1도토리 류지원
2144 성장동력산업 공익사업용 토지 등에 대한 양도소득세 감면 7도토리 박민혁
2143 성장동력산업 기업체의 운동경기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과세 특례 7도토리 이지훈
2142 성장동력산업 농업/임업/어업용 석유류에 대한 간접세 면제 7도토리 이지훈
2141 성장동력산업 도시철도 건설용역에 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7도토리 이지훈
2140 성장동력산업 우정사업본부 등 차익거래를 통한 증권거래세 면제 7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