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CCIX 연결망과 메모리 확장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85
용량 587.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CCIX 연결망과 메모리 확장기술 동향.pdf 587.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Ⅰ. 서론 컴퓨팅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의 글로벌 데이터 동향 조사지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처리되는 데이 터의 크기는 2021년에 60ZB를 넘어섰으며, 2025 년에는 175ZB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1]. 이 처럼 컴퓨팅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크기 가 늘어남에 따라, 시스템에 요구되는 메모리의 용 량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대용량 메모리에 대한 수요는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시스템에서 더 욱 두드러진다. 2017년에 HPC 시스템의 CPU 코 어 수와 메모리 용량에 따른 HPL(High Performance Linpack) 벤치마크 점수를 분석한 연구의 결과에 따 르면, HPL의 이론성능을 얻기 위한 CPU 코어당 메모리 용량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코어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2]. 해당 연구 결과는 HPC 시스템을 구성하는 CPU 코어 수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HPC 시스템에 요구되는 메모리 용량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임을 시사 한다. 이처럼 컴퓨팅 시스템에 요구되는 메모리 용량 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하드웨어적 특성 (CPU의 specication 등)에 따라 컴퓨팅 노드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의 용량에는 한계가 존재한다[3]. 이 에 따라, 메모리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컴퓨 팅 노드가 자신의 로컬 메모리 외의 확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확장기술이 제안되 었다. 메모리 확장기술은 컴퓨팅 노드가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와 같은 하드 웨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장 메모리에 접근하여 이를 자신의 로컬 메모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으로써 메모리 용량 한계를 극복하도록 한다. 하지만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PCIe 인터페이스 를 통해 메모리 확장기술을 구현할 경우, PCIe의 낮은 대역폭이 병목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림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CPU와 DDR4 메모리 사이의 대 역폭은 100GB/s 이상인 반면, PCIe 4.0 인터페이 스로 연결된 CPU와 메모리 확장장치 간 대역폭 은 최대 64GB/s에 불과하다. 또한, 최근 HPC 시스 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HBM(High Bandwidth Memory)의 경우 400GB/s 이상의 대역폭을 제공하 기에, 이 경우 PCIe 인터페이스로 인한 대역폭 병 목 현상은 더욱 심화된다. 위와 같은 PCIe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수 의 기업은 PCIe 대비 낮은 지연율, 높은 대역폭을 지향하는 차세대 연결망 개발에 착수하였다. 대표 적으로 인텔 진영에서 개발한 CXL, ARM 진영에 서 개발한 CCIX 등이 있으며, 최근 CXL 연결망을 기반으로 한 메모리 확장장치가 공개되는 등[3] 차 세대 연결망을 활용한 메모리 확장기술 연구의 성 과가 창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메모리 확장기술과 대표적 차세대 연결망인 CCIX 연결망 기술에 대한 동향을 다루 며,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메모 리 확장기술의 개요, 차세대 연결망, 그리고 메모 리 확장기술의 개발 동향에 대해 다룬다. Ⅲ장에서 는 CCIX 연결망의 상세한 구조와 CCIX의 use case 에 대해 다룬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며 본고를 마무리한다. Ⅱ. 메모리 확장기술 1. 메모리 확장기술의 개요 메모리 확장기술은 컴퓨팅 노드가 하드웨어 인 터페이스를 통해 노드 외부의 메모리에 접근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컴퓨팅 노 드는 메모리 확장기술을 통해 로컬 메모리 외의 추 가적인 메모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림 2는 메 모리 확장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현 형태를 나타낸다. 그림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99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97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
896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93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91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9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9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8 성장동력산업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7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기술 소재 1도토리 국준아
886 성장동력산업 중대형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85 성장동력산업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84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3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82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81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0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