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R&D 성과창출을 위한 효율화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37
용량 85.5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_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R&D 성과창출을 위한 효율화 전략.pdf 85.5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31 
출처 :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페이지 수 : 153 

[ 목 차 ]

 

제1장 R&D 투자성과 제고를 위한 중장기 투자방향
 제1절 정부연구개발투자의 현황과 성과
 제2절 R&D 분야 중기 재정투자 쟁점
 제3절 R&D 분야 중기 투자방향 제언

제2장 기초연구분야 투자성과 제고 방안
 제1절 기초연구 세부사업 구성 현황
 제2절 개인기초연구 세부사업별 예산현황
 제3절 집단연구 세부사업별 예산현황
 제4절 개인기초연구 사업별 학문분야별 지원현황
 제5절 기초연구분야 투자성과 제고 방안

제3장 중소기업 R&D 투자성과 제고 방안
 제1절 중소기업 전체 R&D 투자 현황
 제2절 정부 중소기업 R&D 지원 현황
 제3절 정부 중소기업 R&D 지원의 쟁점
 제4절 중소기업 R&D 투자 효율화 방안

제4장 다부처협력 R&D 예산편성제도 개선방안
 제1절 다부처협력 R&D사업의 현황 및 쟁점
 제2절 다부처협력 R&D사업 예산편성의 현황 및 쟁점
 제3절 다부처협력 R&D사업 효율화 방안

제5장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관리체계 구축방안
 제1절 R&D 관리체계 혁신 현황
 제2절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관리의 쟁점
 제3절 데이터 기반 스마트 연구개발 관리 체계 구축방안

 


 

제1장 R&D 투자성과 제고를 위한 중장기 투자방향” 제1절 정부연구개발투자의 현황과 성과 1. 정부연구개발투자 현황  최근 W년간 우리나라 정부 R&D 예산은 연평균 약 6%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정 부 R&D 예산의 증가세는 2016년부터 약 2년 간 정체되었지만,2019년부터 다시 회 복하여 2020년 이후에는 W%를 상회하는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그림 1-1). 2016년 이후 정부 R&D 예산 증가율은 2019년까지는 정부 총지출 증가율에 비해 2〜6%p 낮 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0년과 2021년에는 정부 총지출에 비해 매우 큰 폭으로 증 가하였다. [그림 1一 1] 정부 총지출 대비 R&D 예산 비교 이러한 정부 R&D의 급격한 증가의 배경에는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적 환경변 화가 자리하고 있다. 2019년에는 일본의 소재 • 부품 • 장비 수출규제로 인해 소재분 야 R&D가 증가하였고,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 기 위해 감염병 대응 예산 및 한국판 뉴딜 사업에 R&D 투자가 집중되었다 (표 1-1).  〈표 1_1〉2021년도 정부 R&D 정책 분야별 예산안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8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원티드랩 21년 광폭의 성장, 1월도 월간 최고치 경신 1도토리 황세영
218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F&F 언제나 그렇듯 서프라이즈, 4분기 영업이익률 32% 기록 1도토리 민준석
218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KT 기업 분할의 우수 사례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R&D 성과창출을 위한 효율화 전략 7도토리 황세영
2184 성장동력산업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고용안전망 강화 7도토리 민준석
2183 성장동력산업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노후소득보장 체계 개선 7도토리 민준석
2182 성장동력산업 2021-25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비대면사회 필수 안전망 보강 7도토리 이지훈
2181 성장동력산업 2021-2025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신산업 핵심인재 양성 7도토리 황세영
2180 성장동력산업 2021-25 국가재정운용계획 보고서: 탄소중립 달성 위한 에너지 재정지원체계 개편 7도토리 황세영
2179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조사 보고서 7도토리 민준석
2178 성장동력산업 KDI가 바라보는 2022 경제전망 7도토리 조정희
2177 성장동력산업 아동보호체계 발전을 위한 재정투입방향 연구 7도토리 김민성
2176 성장동력산업 민간투자사업의 원가구조에 관한 연구 7도토리 조정희
2175 성장동력산업 Naive ontology로 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변화 1도토리 박민혁
2174 성장동력산업 ICT뉴스심리지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2173 성장동력산업 개인방송 이용 행태 및 이용자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2172 성장동력산업 지상파 TV 방송 시청 고객 생존분석 1도토리 조정희
2171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인식 변화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1도토리 조정희
2170 성장동력산업 MZ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 1도토리 박민혁
2169 성장동력산업 개인적 특성, 환경적 요인, 시간대와 요일효과를 고려한 OTT 선택 요인 분석: TV vs. OTT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