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지상파 TV 방송 시청 고객 생존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71
용량 1.1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지상파 TV 방송 시청 고객 생존분석.pdf 1.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30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0 

01 분석 배경 및 목적 ● (배경) 최근 뉴미디어의 등장에 따른 매체 환경의 변화와 종편 4사의 시청 점유율 상승으로 인해, 지상파 3사 시청 점유율은 꾸준히 감소1)(방송통신위원회, 2021.3) - 이러한 추세는 국내외 OTT 서비스의 시장 지배력 강화와 함께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지상파 3사의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 - 단순히 시청 점유율과 같은 거시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지상파 TV 방송 이탈 고객에 관한 미시적인 분석을 통해 실제로 수용자 단위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살펴볼 필요 ● (목적) 이에 본 연구는 KISDI 한국미디어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상파 TV 방송 이탈 고객의 특성을 파악하고, 생존 분석(survival analysis)을 통해 지상파 TV 서비스 시청 고객의 특성과 이탈 확률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함 02 분석 데이터 ● 본 연구는 KISDI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서 ’11년부터 ’20년까지 개인 패널로서 유지되고 있으며, 지상파 TV 방송 시청에 관한 미디어 다이어리 기록이 있는 4,908명의 지상파 TV 방송 시청 데이터2)를 활용 - 한국미디어패널조사는 ’10년부터 매년 실시되는 동일 표본 추적 조사이나, ’11년부터 조사 대상이 전국 16개 광역시로 확대된 점을 고려, ’11년부터의 자료를 활용 ● 지상파 TV 방송 시청은 ‘실시간 시청(재방송 포함)’과 ‘VOD 및 다시보기’를 더한 것으로, 개인 패널 1인당 지상파 TV 방송 평균 시청 시간은 하루 기준 ’11년 3.3시간(200.7분)에서 ’20년 2.9시간(175.7분)으로 감소하는 추세 1) (’16년) 48.8% → (’17년) 44.5% → (’18년) 42.1% → (’19년) 39.0% 2) 지상파 TV 방송은 MBC, KBS, SBS, EBS 및 계열사와 지역민방의 TV 방송을 의미 02 KISDI STAT Report 2021. 8. 30 / Vol. 21-16 ● 반면, 기타 유료방송채널3)과 종합편성채널4)의 경우 개인 패널 1인당 평균 시청 시간이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 - (기타 유료방송채널) ’11년 하루 평균 0.2시간(13.7분)에서 ’20년 0.5시간(29.0분)으로 증가 - (종합편성채널) 처음 방영이 시작한 ’12년 2.6분에서 ’20년 25.6분으로 증가 03 지상파 TV 방송 이탈 고객 개념 및 추이 ● (개념)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지상파 TV 방송 이탈 고객은 최근 3년(’18-’20년) 이상 지상파 TV 방송을 전혀 시청하지 않은 고객으로 정의 ● (이탈 추이) 총 4,908명의 개인 패널의 3.0%(146명)가 최근 3년간 지상파 TV 방송을 전혀 시청하지 않았으며, 이 중 82명은 ’18년 이전에 이탈 - 특정 연도의 이탈 고객 수는 해당 시점 이후로 ’20년까지 지상파 TV 방송을 계속해서 시청하지 않은 고객 수를 나타냄 - 이탈 고객을 최근 3년(’18-’20년) 이상 지상파 TV 방송을 전혀 시청하지 않은 고객으로 정의하였으므로, ’18년 이후 이탈 고객은 없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19 성장동력산업 ICT뉴스심리지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박민혁
2118 성장동력산업 개인방송 이용 행태 및 이용자 특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지상파 TV 방송 시청 고객 생존분석 1도토리 조정희
2116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인식 변화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여 1도토리 조정희
2115 성장동력산업 MZ세대의 미디어 이용행태 1도토리 박민혁
2114 성장동력산업 개인적 특성, 환경적 요인, 시간대와 요일효과를 고려한 OTT 선택 요인 분석: TV vs. OTT 1도토리 김민성
2113 성장동력산업 연령대별 SNS 이용행태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김민성
2112 성장동력산업 중장년층의 미디어 비판적 이해능력과 자아존중감 1도토리 김민성
2111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가 ICT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생산지수와 BSI를 중심으로 1도토리 조정희
2110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한국미디어패널 조사결과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2109 성장동력산업 2021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주요 내용 1도토리 박민혁
2108 성장동력산업 ICT이머징이슈발굴 시스템을 통한 2021년 월간 반도체 산업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107 성장동력산업 온라인쇼핑 이용행태 변화 분석 - 한국미디어패널조사와 통계청 「온라인쇼핑 동향」을 활용하여- 1도토리 박민혁
2106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세상의 디지털 플랫폼 규제 3도토리 박민혁
2105 성장동력산업 美·中 데이터 패권 경쟁과 대응전략 3도토리 김민성
2104 성장동력산업 2021 인공지능(AI) 중요 이슈 및 전망 3도토리 김민성
2103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수출입 규범: 세계 트렌드와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2102 성장동력산업 위성인터넷 : 스타링크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2101 성장동력산업 [연구동향]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1도토리 이지훈
2100 성장동력산업 [초점] 팬데믹 시대의 디지털 양성평등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