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연령대별 SNS 이용행태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관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95
용량 1.0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연령대별 SNS 이용행태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에 관한 연구.pdf 1.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30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2 

연구 배경 및 목적 -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는 만 6세 이상의 10,302명이 참여함. 이 중 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를 사용하는 대상은 4,989명(48.4%)으로, 성별과 연령대별 빈도는 [그림 1]과 같음 - 2011년 이후 SNS 이용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이에 SNS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어 SNS 종류별 특성뿐 아니라 SNS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특성, 이용 정도 및 동기, SNS 이용에 따른 영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음 - 최근에는 SNS 이용자의 특성과 이용 정도, 목적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개인들을 유형화하는 접근방식이 연구에 사용되는 추세임 - 각 연령대별로 선호하고 빈번히 사용하는 SNS가 다를 수 있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하는 동기 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연령집단을 구분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02 KISDI STAT Report 2021. 10. 30 / Vol. 21-20 [그림 1]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참여대상자 중 SNS 사용자 특성 (단위: %) ● 남 ● 여 46.6 53.4 성별 14.5 20.9 14.2 22.9 19.4 8.1 연령대 ● 10대이하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1) 연령대별로 주로 사용하는 SNS의 종류를 살펴보고, 2) SNS 이용행태 특성을 파악 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 연령대별 SNS 이용행태 유형을 찾아내는 것임. 나아가 3) SNS 이용행태별 유형 구분과 관련된 개인의 특성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02 연구대상 - 한국미디어패널조사 11차년도(2020년)에 참여한 사람 중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밴드)를 사용하고 있는 만 13세 이상의 참여자 3,762명을 대상으로 함 - 분석대상([표 1] 참조)은 남자 1,727명(46%), 여자 2,035명(54%)임. 연령대별로 볼 때, 10대 320명(9%), 20대 898명(24%), 30대 562명(15%), 40대 853명(23%), 50대 772명(21), 60대 이상 357명(10%)임 [표 1] 연구대상자의 연령대별 남자와 여자의 빈도 및 백분율 (N=3,762) 성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전체 남자 149(47%) 428(48%) 245(44%) 360(42%) 352(46%) 193(54%) 1,727(46%) 여자 171(53%) 470(52%) 317(56%) 493(58%) 420(54%) 164(46%) 2,035(54%) 주: 단위: n(%) 03 분석변인및자료분석 -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응답자의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1인가구여부, 최종학력, 직업유무, 월수입 정보를 이용하였고, SNS 이용현황과 자아존중감은 아래와 같이 평가함 - SNS 이용현황은 4문항으로, 다른 사람의 게시글(피드)을 확인하는 빈도,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하는 빈도, 타인의 게시글을 공유하는 빈도, 타인이나 본인 게시글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 등의 표시를 하는 빈도에 대한 각 응답치로 평가함. 원자료에는 빈도가 Likert 8점 척도[하루에도 여러 번(1점), 하루 1번(2점), 1주일에 5~6번(3점), 1주일에 3~4번(4점), 1주일에 1~2번 정도(5점), 월 1~3번(6점), 월 1번 미만(7점), 분기/연간 1번 정도(8점)]로 기록되어 있음.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이들 응답치를 역코딩하여 투입하였으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SNS를 보다 자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함 - 자아존중감은 총 10문항, Likert 4점 척도[별로 그렇지 않다(1점) ~ 항상 그렇다(4점)]로 평가함. 총점이 높을수록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에 대한 느낌, 평가 및 자기수용 수준 등이 긍정적임을 나타냄 - 자료분석에서 연령대별로 주로 사용하는 SNS의 종류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음. SNS 이용행태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SNS 이용현황에 대한 각 변인을 4가지 차원으로 투입해 연령대별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함. 예비분 석 결과, 20대 표본과 30대표본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40대 표본과 50대 표본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 났음. 이에, 이후 연령집단을 10대, 20대와 30대, 40대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를 제시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9 성장동력산업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로 대두된 '밭농업 기계화'의 촉진 방안 1도토리 국준아
817 성장동력산업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 1도토리 국준아
816 성장동력산업 소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생산성 향상 담보돼야 1도토리 국준아
815 성장동력산업 중국 자동차산업의 변화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4 성장동력산업 농촌을 청년의 꿈터·일터·삶터로 만들자 1도토리 국준아
813 성장동력산업 로컬푸드 활성화, 지자체가 나서야 1도토리 국준아
812 성장동력산업 쌀시장 안정의 전제 조건, 계절진폭 1도토리 국준아
811 성장동력산업 지방 도시, 웨이하이威海시의 투자유치 활동 1도토리 조정희
810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규획 기간 중국 희토류산업의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809 성장동력산업 블록체인기술 응용과 산업 발전 촉진 1도토리 조정희
808 성장동력산업 공영도매시장 관리체계 재정립돼야 1도토리 국준아
807 성장동력산업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06 성장동력산업 독일의 에너지 전환 8차 모니터링 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05 성장동력산업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 기업매뉴얼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04 성장동력산업 농촌 주거·문화·보육 여건 개선, 청년들 정착 도와야 1도토리 국준아
803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가격, 보이지 않는 큰손의 영향력 1도토리 국준아
802 성장동력산업 기업체 혁신 동향 국제비교와 활성화 방향 3도토리 조정희
801 성장동력산업 청년농업인이 증가하고 있다 1도토리 국준아
800 성장동력산업 다중 엣지 서비스 분업 및 실행 플랫폼 기술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