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에는 만 6세 이상의 10,302명이 참여함. 이 중 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를 사용하는 대상은 4,989명(48.4%)으로, 성별과 연령대별 빈도는 [그림 1]과 같음 - 2011년 이후 SNS 이용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이에 SNS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수행되어 SNS 종류별 특성뿐 아니라 SNS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특성, 이용 정도 및 동기, SNS 이용에 따른 영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였음 - 최근에는 SNS 이용자의 특성과 이용 정도, 목적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개인들을 유형화하는 접근방식이 연구에 사용되는 추세임 - 각 연령대별로 선호하고 빈번히 사용하는 SNS가 다를 수 있고,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수단과 콘텐츠 플랫폼을 이용하는 동기 에도 차이가 있으므로 연령집단을 구분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음 02 KISDI STAT Report 2021. 10. 30 / Vol. 21-20 [그림 1] 2020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참여대상자 중 SNS 사용자 특성 (단위: %) ● 남 ● 여 46.6 53.4 성별 14.5 20.9 14.2 22.9 19.4 8.1 연령대 ● 10대이하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이상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1) 연령대별로 주로 사용하는 SNS의 종류를 살펴보고, 2) SNS 이용행태 특성을 파악 하여 이를 기준으로 각 연령대별 SNS 이용행태 유형을 찾아내는 것임. 나아가 3) SNS 이용행태별 유형 구분과 관련된 개인의 특성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연령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02 연구대상 - 한국미디어패널조사 11차년도(2020년)에 참여한 사람 중 SNS(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인스타그램, 네이버 밴드)를 사용하고 있는 만 13세 이상의 참여자 3,762명을 대상으로 함 - 분석대상([표 1] 참조)은 남자 1,727명(46%), 여자 2,035명(54%)임. 연령대별로 볼 때, 10대 320명(9%), 20대 898명(24%), 30대 562명(15%), 40대 853명(23%), 50대 772명(21), 60대 이상 357명(10%)임 [표 1] 연구대상자의 연령대별 남자와 여자의 빈도 및 백분율 (N=3,762) 성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전체 남자 149(47%) 428(48%) 245(44%) 360(42%) 352(46%) 193(54%) 1,727(46%) 여자 171(53%) 470(52%) 317(56%) 493(58%) 420(54%) 164(46%) 2,035(54%) 주: 단위: n(%) 03 분석변인및자료분석 -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응답자의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1인가구여부, 최종학력, 직업유무, 월수입 정보를 이용하였고, SNS 이용현황과 자아존중감은 아래와 같이 평가함 - SNS 이용현황은 4문항으로, 다른 사람의 게시글(피드)을 확인하는 빈도, 새로운 게시글을 작성하는 빈도, 타인의 게시글을 공유하는 빈도, 타인이나 본인 게시글에 댓글을 달거나 좋아요 등의 표시를 하는 빈도에 대한 각 응답치로 평가함. 원자료에는 빈도가 Likert 8점 척도[하루에도 여러 번(1점), 하루 1번(2점), 1주일에 5~6번(3점), 1주일에 3~4번(4점), 1주일에 1~2번 정도(5점), 월 1~3번(6점), 월 1번 미만(7점), 분기/연간 1번 정도(8점)]로 기록되어 있음.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이들 응답치를 역코딩하여 투입하였으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SNS를 보다 자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함 - 자아존중감은 총 10문항, Likert 4점 척도[별로 그렇지 않다(1점) ~ 항상 그렇다(4점)]로 평가함. 총점이 높을수록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에 대한 느낌, 평가 및 자기수용 수준 등이 긍정적임을 나타냄 - 자료분석에서 연령대별로 주로 사용하는 SNS의 종류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였음. SNS 이용행태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SNS 이용현황에 대한 각 변인을 4가지 차원으로 투입해 연령대별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함. 예비분 석 결과, 20대 표본과 30대표본의 잠재프로파일 유형, 40대 표본과 50대 표본의 잠재프로파일 유형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 났음. 이에, 이후 연령집단을 10대, 20대와 30대, 40대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결과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