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데이터 및 목적 ● (생산지수) 통계청 「광업제조업동향조사」의 시도/산업별 광공업생산지수와 「서비스업동향조사」의 산업별 서비스업 생산지수 (Industrial Production, IP) 중 ICT 산업과 관련된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과 그에 포함되는 세부 제조업, 그리고 정보통신업과 그에 포함되는 세부 서비스업에 대한 지수(계절조정, 총지수)를 2010년 1월부터 2021년 9월 (잠정치)까지 활용 - ICT 제조업의 세부 산업으로는 반도체, 전자부품, 컴퓨터 및 주변장치, 통신 및 방송장비, 영상 및 음향기기 제조업이 포함됨 - ICT 서비스업(정보통신업)의 세부 산업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영상·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방송업, 우편 및 통신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정보서비스업이 포함됨 - 각 생산지수는 2015년을 기준으로 작성(2015=100) ● (BSI)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의 전산업, 제조업, 전자·영상·통신장비 제조업, 비제조업, 정보통신업에 대한 매출전망, 그리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주요품목동향조사」의 부문별 BSI에서 ICT기업경기지수(실적BSI, 당월업황)를 2010년 1월 부터 2021년 9월까지 활용 - 한국은행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 BSI)는 전년 동월과 비교하여 당월의 매출을 전망한 결과이며, 전체 응답 업체 수 중 긍정적인 업체 수와 부정적인 업체 수의 차이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지수를 산출 - 따라서, BSI가 100 이상일 때 긍정적으로 답변한 업체 수가 더 많아 기업들이 경기가 좋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해석 할 수 있음 -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기업경기지수는 전월 대비 당월 실적에 대한 응답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있으므로 한국은 행의 BSI와 비교 시 유의할 필요가 있음 전체 응답업체 수 긍정적인 응답업체 수 - 부정적인 응답업체 수 ● (분석목적) 월별로 공개되는 생산지수 및 BSI를 통해 ICT 산업의 성장 추이를 분석하고 코로나19 등 거시환경 변화에 따른 영향을 식별 - 전체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ICT제조업과 ICT서비스업과 비교를 통해 ICT산업의 특징을 도출하고, 그 세부 산업의 이질적 특성을 살펴봄 02 KISDI STAT Report 2021. 11. 30 / Vol. 21-22 02 전산업 대비 ICT 산업 생산지수 ● ICT 제조업은 2012년 이후 2017년까지 성장 속도가 크게 둔화하였다가 이후 다시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추세이나, 제조업은 여전히 2012년 이후 성장이 둔화 - 2021년 9월 ICT 제조업 생산지수는 180.1로 2015년보다 80% 더 성장했지만, 제조업은 112.2로 약 12% 성장에 그침 ● ICT 제조업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생산지수가 급락하였다가 빠르게 회복하여 2021년 9월 현재 이전 수준을 크게 상회하고 있으나 제조업은 예전 추세로 회복한 수준에 그침 - 제조업과 ICT 제조업 생산지수는 코로나19 이전 정점(2019년 12월)에 각각 119.5과 147.1에서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저점을 찍은 시점에 각각 95.2(2020년 5월)와 132(2020년 4월)로 하락 - 코로나19 이전 정점과 비교하여, 저점 기준 제조업은 14.6%, ICT 제조업은 10.3% 하락하였다가 2021년 9월 현재 제조업 은 0.63%, ICT 제조업은 22.4% 상승 ● ICT 서비스업(정보통신업)은 2009년 세계금융위기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제조업과 유사하게 2017년을 전후로 성장의 추세에 변화가 나타남 - 2017년 이후 서비스업 성장은 둔화한 반면, ICT서비스업은 성장속도가 서서히 빨라지고 있음 - 2021년 9월 ICT 서비스업 생산지수는 119.2로 2015년보다 19% 더 성장하였고, 서비스업은 111.9로 약 12% 성장하여, ICT 서비스업의 성장 속도가 더 빠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