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성별·연령대별 유튜브/넷플릭스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511
용량 1.0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초점] 성별·연령대별 유튜브 및 넷플릭스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pdf 1.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30 
출처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23 

● 본고에서는 KISDI 방송미디어연구본부의 『2020년 인터넷 동영상콘텐츠 유통과 소비에 관한 실태 조사』에서 수행한 일반인 대상 조사의 일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튜브·넷플릭스 콘텐츠의 이용행태를 성별·연령대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 ● 분석 결과, 유튜브 및 넷플릭스 이용자의 콘텐츠 장르별 시청비율 및 가장 자주 본 콘텐츠 장르(공히 최근 1주 기준)의 응답 분포에서 성별·연령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유튜브 ● 전문제작사 콘텐츠 장르 중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던 장르는 ‘스포츠 중계’와 ‘뉴스/시사’였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던 장르는 ‘드라마’와 ‘뮤직비디오/공연 영상/뮤지션 근황’이었음 - 연령대별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시청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가장 뚜렷했던 장르는 ‘뉴스/시사’였으며,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시청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가장 뚜렷했던 장르는 ‘애니메이션’이었음(30대 제외) ● 개인/소집단 제작 콘텐츠 장르 중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던 장르는 ‘게임’, ‘스포츠 관련 영상’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던 장르는 ‘패션/뷰티, ‘먹방/쿡방/요리’였음 - 연령대별로는,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시청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가장 뚜렷했던 장르는 ‘게임’이었으며, 반대 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시청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가장 뚜렷했던 장르는 ‘뉴스/시사’였음 넷플릭스 ● 전문제작사 콘텐츠 장르 중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시청비율이 높았던 장르는 ‘시사를 제외한 교양/다 큐멘터리’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던 장르는 ‘드라마’ 및 ‘예능/오락’이었음 - 연령대별로는, ‘애니메이션’은 초·중·고 이용자에서 시청비율이 뚜렷이 높았으며, ‘시사를 제외한 교양·다큐 멘터리’와 ‘뉴스/시사’는 60대에서 시청비율이 가장 높았음 요 약 2 초점 성별·연령대별 유튜브 및 넷플릭스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 Perspectives 01 개 요 ● OTT(Over-the-top) 서비스에 대한 정기적 모니터링의 필요성에 따라(김남두, 2018), 본 연구원에서는 ´18년부터 ‘인터넷 동영상콘텐츠 유통과 소비에 관한 실태조사’를 매년 수행 - 조사사업의 일부로 일반인 대상의 ‘OTT 서비스·콘텐츠 이용행태 조사’를 실시하며, ´20년 이용행태 조사 (KISDI 방송미디어연구본부, 2020)에서는 OTT 서비스 이용행태 일반, 심층조사 대상 OTT 서비스*의 콘텐츠 유형·장르별 이용행태와 서비스 관련 태도, 개별 TV 프로그램의 소비경로 등을 조사하였음 * ´20년 이용행태 조사에서는 심층조사 대상 OTT 서비스로 유튜브,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을 선정 - 이용행태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20년 설문조사(11월 8일~11월 25일)에는 최근 한 달 이내 인터넷 동영상 이용경험자(전국, 만 7세~69세, 성별·연령대 층화표집) 1,558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음 ● 본고에서는 ´20년 이용행태 조사의 데이터 일부를 이용하여, OTT 서비스 중 이용률 1·2위*를 기록한 유튜브와 넷플릭스에 대해 각 서비스 이용자들의 콘텐츠 이용행태가 성별·연령대 간에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 분석하였음 * 최근 1주일 이내 이용경험 유무 기준으로 유튜브 이용률은 86.1%, 넷플릭스 이용률은 23.6% - 분석 결과는 인터넷 이용인구 비례 가중치*를 적용한 보정치를 사용하여 보고 * 서베이 실시 결과, 10대 이하 남성·여성 및 20대 남성 응답자 수가 목표에 미달하여 조사업체(닐슨미디어코리아)가 추정한 인터넷 이용자 모집단의 성·연령대 분포에 비례하도록 원 자료에 가중치를 적용(‘20년 이용행태 조사에서도 동일 방식 적용) 02 유튜브 콘텐츠 이용행태의 성별·연령대 간 비교 ■ 유튜브 이용자의 성별·연령대 분포 ● 최근 1주 이내 유튜브를 이용한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이하 최근 1주 유튜브 이용자)는 1,342명(전체 응답자 1,558명의 86.1%) - 최근 1주 유튜브 이용자의 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남성은 50.7%(680명), 여성은 49.3%(662명) - 연령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초·중·고 11.2%(150명), 19세 포함 20대 19.3%(259명), 30대 16.9%(227명), 40대 20.1%(270명), 50대 19.2%(258명), 60대 13.3%(179명)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00 성장동력산업 [초점] 팬데믹 시대의 디지털 양성평등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성별·연령대별 유튜브/넷플릭스 콘텐츠 이용행태 분석 3도토리 노민우
2098 성장동력산업 [초점]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송·미디어 기업 전략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097 성장동력산업 [초점]우리나라 ICT 수출의 구조적 단절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209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ICT 분야의 벤처캐피탈 투자 현황 1도토리 국준아
2095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디지털 전환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OECD 고잉디지털 프로젝트 1도토리 국준아
2094 성장동력산업 5G 특화망 글로벌 구축 예시와 제도적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20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국내 유료방송 시장동향- IPTV 사업자의 수신료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1도토리 국준아
2092 성장동력산업 국내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 유형화에 의한 ICT 분야 협력 방안 연구 3도토리 이지훈
209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한국, 일본, 중국의 OTT 시장 매출액 및 가입자 현황 1도토리 노민우
2090 성장동력산업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PEC 기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089 성장동력산업 美 중대역 주파수 공급 현황 3도토리 국준아
2088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의 디지털화 추이- 네이버 뉴스 기사를 통한 분석 1도토리 이지훈
2087 성장동력산업 영국, 망 중립성 규제에 대한 리뷰 착수 1도토리 국준아
208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조선해양 좋아진 수주는 실적으로 1도토리 이지훈
208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팬오션 유가상승이 부담스러운 상황 1도토리 이지훈
208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키움증권 부진한 업황에도 견조한 증권 실적 1도토리 국준아
208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퓨런티어 (신규상장) 자율주행 센서 성장 수혜주 1도토리 노민우
2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 - 풍력 공급망 이슈: 풍력 터빈사들의 생각은? 1도토리 노민우
2081 성장동력산업 방송사업자 간 인수합병이 방송 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 분석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