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영국, 망 중립성 규제에 대한 리뷰 착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801.0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영국, 망 중립성 규제에 대한 리뷰 착수.pdf 801.0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6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Ofcom은 영국의 망 중립성 프레임워크에 대한 리뷰를 진행 중이며, 이해관계자 대상 정책자문 실시(‘21.9.7∼’21.11.2) ● Ofcom은 망 중립성 규제 채택 이후 인터넷 환경의 중요한 변화에 대응하여, 망 중립성 프레임 워크의 유효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리뷰를 수행할 예정 - 주요 리뷰 영역은 최종이용자의 경험, 시장에 미치는 영향, 기술 진화 등이며, 이와 함께 관리형 서비스, 트래픽 관리, 제로레이팅 등 다양한 망 중립성 관련 이슈 검토 ● 이해관계자에 대한 질문은 망 중립성 프레임워크의 기능, 이용사례, 기술 및 시장의 진화, 가치 사슬 등 7개이며, 접수된 의견 등을 참고하여 ‘22년 봄에 리뷰 결과 초안을 발표할 예정 요 약 2 정책동향 영국, 망 중립성 규제에 대한 리뷰 착수 Perspectives 01 개 요 ● Ofcom은 영국의 망 중립성 프레임워크에 대한 리뷰를 진행 중이며, 이해관계자 대상 정책 자문* 실시(’21.9.7~’21.11.2) * Ofcom(2021), Call for evidence: Net neutrality review - 영국은 2016년 EU의 망 중립성 규칙*을 국내법으로 수용하였으며, 브렉시트 이후(‘20.1.31일 EU 탈퇴, ’20.12.31일 전환기간 만료)에도 주요 망 중립성 규칙은 유효 * Regulation (EU) 2015/2120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5 November 2015 laying down measures concerning open internet access and retail charges for regulated intra-EU communications and amending Directive 2002/22/EC and Regulation (EU) No 531/2012 on roaming on public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s within the Union - 정책자문은 망 중립성 프레임워크 리뷰의 목적 및 범위에 대한 설명과 프레임워크의 유효성 등 이해관계자에 대한 7개의 질문으로 구성되며, 망 중립성 관련 정책 제안은 포함하지 않음 - 의견 제출 기한은 ‘21.11.2일이며, 접수된 의견 등을 참고하여 ’22년 봄에 리뷰 결과 초안을 발표할 예정 02 영국의 망 중립성 규제 및 Ofcom의 역할 ■ 영국의 망 중립성 규제 ● 브렉시트 이후 일부 변경 사항을 제외하면, 영국의 망 중립성 프레임워크는 EU의 망 중립성 규칙을 따름 - 망 중립성 규제의 주된 내용은 유지하되, EC에 망 중립성 준수 모니터링에 관한 연례 보고서 제출 의무 삭제, 적용 법률 및 소관을 EU법 및 NRA에서 국내법 및 Ofcom으로 대체 등 일부 조항 수정(행정명령 2018 No. 1243) - 한편 망 중립성 규제 집행시 BEREC 가이드라인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나, Ofcom은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를 따를 수 있다고 언급 - 제로레이팅 및 트래픽 관리 조치에 대해서는 자체 접근법*을 통해 망 중립성 규칙 준수 여부를 평가 * 이와 관련하여 Ofcom은 ‘19년 제로레이팅 및 트래픽 관리 조치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 프레임워크에 대해 기술한 문서 (Framework document)인 “Ofcom's approach to assessing compliance with net neutrality rule” 발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4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국내 유료방송 시장동향- IPTV 사업자의 수신료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1도토리 국준아
2147 성장동력산업 국내 공적개발원조(ODA) 중점협력국 유형화에 의한 ICT 분야 협력 방안 연구 3도토리 이지훈
214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한국, 일본, 중국의 OTT 시장 매출액 및 가입자 현황 1도토리 노민우
2145 성장동력산업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PEC 기술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144 성장동력산업 美 중대역 주파수 공급 현황 3도토리 국준아
2143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의 디지털화 추이- 네이버 뉴스 기사를 통한 분석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영국, 망 중립성 규제에 대한 리뷰 착수 1도토리 국준아
214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조선해양 좋아진 수주는 실적으로 1도토리 이지훈
214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팬오션 유가상승이 부담스러운 상황 1도토리 이지훈
213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키움증권 부진한 업황에도 견조한 증권 실적 1도토리 국준아
213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퓨런티어 (신규상장) 자율주행 센서 성장 수혜주 1도토리 노민우
21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 - 풍력 공급망 이슈: 풍력 터빈사들의 생각은? 1도토리 노민우
2136 성장동력산업 방송사업자 간 인수합병이 방송 시장 경쟁에 미치는 영향 분석 3도토리 이지훈
2135 성장동력산업 온라인 법률플랫폼 '로톡(LawTalk)'사건의 경과 및 주요 쟁점 분석 1도토리 이지훈
2134 성장동력산업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 1도토리 이지훈
213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북한의 ICT 정책동향 분석 1도토리 국준아
2132 성장동력산업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1도토리 노민우
2131 성장동력산업 물류 산업의 인공지능 응용 사례 분석 및 발전 방향 3도토리 노민우
213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표준화 현황 3도토리 이지훈
2129 성장동력산업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