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81
용량 656.6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pdf 656.6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0 

요 약 2 정책동향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 Perspectives 01 개 요 ● 지난 2020년 11월 3일 캐나다의 집권 여당인 자유당 정부는 방송법을 개정하는 법안인, Bill C-10*을 발의함 * Bill C-10의 정확한 명칭은 “방송법을 개정하고 이에 따른 다른 법률을 개정하는 법안”(An Act to amend the Broadcasting Act and to make related and consequential amendments to other Acts)임 - Bill C-10은 1991년 이후 20여년 만의 대대적인 방송법 개정안으로 주요 골자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OTT 서비스를 방송법 규제 대상에 포함시켜 캐나다의 방송통신 규제 기관인 CRTC(Canadian Radiotelevision and Telecommunications Commission)가 규제토록 하는 것 - Bill C-10이 통과되면 넷플릭스, 유튜브, 스포티파이 등 주요 OTT 서비스가 방송법 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음 ● Bill C-10은 방송법 규제 대상 OTT 서비스에 주로 이용자 제작 콘텐츠가 업로드되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소셜미디어도 포함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사회 각층에서 표현의 자유 침해, 검열 등의 이슈로 거센 반발과 논란을 일으킴 - Bill C-10은 OTT 서비스에 캐나다 자국 콘텐츠를 우선 배치하도록 규제하기 때문에 소셜미디어가 방송법 규제 대상에 포함될 경우 해당 소셜미디어에 캐나다 자국 콘텐츠 위주로 피드가 보여진다면, 이는 정부의 알고리즘 개입이자 검열이라는 것 ● Bill C-10은 2021년 6월 22일 캐나다 하원을 통과하였으나, 직후 43대 의회가 여름 휴정에 돌입하고 8월 15일 해산되면서 상원 통과에 실패하고 미처리 상태로 종결됨 - 9월 20일 총선에서 자유당은 빠른 시일 안에 방송법 개정을 위한 법안을 재발의할 것을 공약한 가운데 차기 정부가 기존 Bill C-10에 어떤 변화를 줄지 귀추가 주목됨 02 방송법 개정안 발의 배경 ■ 방송법 개정안 발의 배경 ● 현재 캐나다의 방송법(Broadcasting Act)은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기 전인 1991년 마지막으로 개정된 버전으로 최근 인터넷 보급에 따른 방송환경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개정이 꾸준히 요구되어 왔음 - 2017년 연방 예산 계획(federal budget plan)에서 정부는 “캐나다 국민이 개방적이고 혁신적인 인터넷의 혜택을 지속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방송법과 통신법의 검토 및 현대화를 제안했고, 정부는 “디지털 시대의 통신, 콘텐츠 제작, 망 중립성 및 문화적 다양성”과 같은 문제를 중점적으로 검토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80 성장동력산업 온라인 법률플랫폼 '로톡(LawTalk)'사건의 경과 및 주요 쟁점 분석 1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 1도토리 이지훈
2078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북한의 ICT 정책동향 분석 1도토리 국준아
2077 성장동력산업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1도토리 노민우
2076 성장동력산업 물류 산업의 인공지능 응용 사례 분석 및 발전 방향 3도토리 노민우
20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표준화 현황 3도토리 이지훈
2074 성장동력산업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73 성장동력산업 규제의 역설과 인공지능 규제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2072 성장동력산업 해외 인공지능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 분석 3도토리 이지훈
2071 성장동력산업 물류 인공지능을 위한 필수조건, 물류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1도토리 국준아
207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1도토리 이지훈
20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인공지능 도입 유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도토리 노민우
2068 성장동력산업 우주분야 AI 국가연구개발사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67 성장동력산업 AI 융합 촉진을 위한 법제 대응방안 1도토리 국준아
2066 성장동력산업 미국 혁신경쟁법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65 성장동력산업 교통물류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64 성장동력산업 공공·안전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063 성장동력산업 호주 인공지능 실행 전략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2062 성장동력산업 미국 연방기관의 인공지능 책임성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1도토리 국준아
2061 성장동력산업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