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03
용량 792.7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_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pdf 792.7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28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3 

● 본 고에서는 최근 영국 공영방송사 BBC의 ‘BBC3’ 지상파 방송채널 재개 신청 사례를 중심으로,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이를 통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 및 기대성과를 살펴보고자 함 ● 2016년 개정된 BBC 칙허장 및 협약에 의해, BBC가 자사의 서비스 변경안이 공익성에 부합 하는지 심사하고, 외부감독기구인 Ofcom이 공정경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등 서비스 변경에 대해 이원화된 평가 절차를 따름 ● 특히 BBC는 BBC3 지상파 방송채널을 통한 젊은 연령대의 런던외 거주민과 취약계층에 대한 차별 없는 서비스 제공과 지역 제작산업 활성화에 무게를 싣고 BBC 공적 책무의 강화를 역설함 ● 반면 Ofcom은 BBC3 지상파 방송채널의 잠재적 경쟁대상인 민영 방송사, SVOD, 유료 서비스 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시장의 공정 경쟁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둠 ● 결과적으로 Ofcom은 BBC3 지상파 방송채널 재개를 조건부 승인했으며, 뉴스 편성, 오리지널 제작물 쿼터, 초방편성 영국산 프로그램 편성 등 구체적인 규제요건을 반영해 BBC 운영 인허장을 개정하고 향후 이행실적 평가 기준을 지정함 ● 본 고에서 분석한 사례는 영국의 BBC 칙허장 중간평가 기한이 도래한 시점에 최근 미디어 환경과 공영방송에 대한 사회적 기대를 반영하기 위한 BBC의 전략이자 사회 각계의 의견수렴 및 Ofcom 합의의 결과물로써 정책적 의미가 큼 ● 또한, 현행 영국 공영방송 서비스 변경 절차의 평가 이원화, 공적 목표의 일관적인 추진, 경쟁평가 및 향후 이행실적 평가항목 도입, 신속성·투명성 확보 등은 향후 국내 방송시장과 제도에 맞는 공영방송 협약을 도입하기 위해 풍부한 논의를 형성해 나가는 데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함 요 약 2 초점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Perspectives 01 개요 ● 2022년은 영국에서는 최초의 공영방송 칙허장(BBC Charter) 중간평가가 예정된 해로, 최근 공영방송의 개혁과 평가에 대해 영국 사회가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음 - BBC(2021a)가 2022-2027년 개혁안을 담은 보고서(‘The BBC Across the UK’)를 발간, 문화미디어 체육부 장관(2022.1.17)이 2027년까지의 수신료 책정 결과를 발표하여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음 ● 2022년 2월에 예정된 BBC3의 지상파방송 채널 재개국 또한, BBC가 표방하는 국민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고 영국의 대표적인 방송사로서 시장 질서를 선도하기를 바라는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 및 규제기구 Ofcom과 합의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 본 고는 현행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BBC 서비스 변경 절차와 이를 통해서 추구하려는 궁극적인 목표 및 기대성과를 살펴보고, 최근 사례를 분석하여 주요 시사점을 소개하고자 함 02 영국 공영방송의 서비스 변경 절차 ● 2016년 12월, 영국의 공영방송 BBC 칙허장 갱신이 국왕에 의해 최종승인되어 2017년 1월 부터 발효되어 2027년 12월까지 존속됨 ● 새로운 BBC 칙허장은 BBC 트러스트를 폐지하면서 BBC를 단일 이사회 체제로 변경하고 BBC에 대한 일부 규제권한을 외부감독기구인 Ofcom에 이관함 - 이에 2017년 4월부터 Ofcom은 BBC 공적, 상업적 서비스의 감독과 BBC 성과측정 등의 권한을 보유하게 됨 ● 칙허장에 근거한 2016년 BBC 협약(BBC Framework Agreement)은 BBC가 ‘영국 공적 서비스’를 새롭게 출시하거나 변경하는 등 협약에 ‘현저한 변경’을 집행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함 - 여기서, ‘영국 공적 서비스’는 BBC가 운영하는 영국내 전국 TV 및 라디오, 지역 TV 및 라디오, 디지털 서비스를 포괄하며, BBC Studios, BBC Global News, BBC Studioworks, UKTV Media 유한회사 등 BBC 상업 서비스는 제외함 - ‘현저한 변경(significant change)’이란, 새로운 영국 공적 서비스를 실시하거나, 기존에 있는 영국 공적 서비스에 변경을 가져옴으로써 공정하고 효율적인 경쟁시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를 일컬음 ● 2016년 BBC 협약은 (1) 공적 목표에 따른 일관된 전략 수립과 시장 영향에 대한 설명책임을 BBC에 일임하고, (2) 이후 경쟁평가를 통한 최종 승인결정을 Ofcom에 위임함 - BBC의 설명책임을 강화하고, Ofcom에 최종 승인 권한을 부여함과 동시에 서비스 변경 절차를 간소화한 점에서 이전의 2006년 협약과 가장 큰 차이가 있음( 참고)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79 성장동력산업 캐나다 방송법 개정안의 OTT 서비스 규제 시도 1도토리 이지훈
2078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북한의 ICT 정책동향 분석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영국 공영방송 협약에 따른 서비스 변경 절차와 시사점: 2022년 BBC3 방송채널 재개국 사례를 중심으로 1도토리 노민우
2076 성장동력산업 물류 산업의 인공지능 응용 사례 분석 및 발전 방향 3도토리 노민우
20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표준화 현황 3도토리 이지훈
2074 성장동력산업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73 성장동력산업 규제의 역설과 인공지능 규제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2072 성장동력산업 해외 인공지능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 분석 3도토리 이지훈
2071 성장동력산업 물류 인공지능을 위한 필수조건, 물류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1도토리 국준아
207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1도토리 이지훈
2069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인공지능 도입 유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도토리 노민우
2068 성장동력산업 우주분야 AI 국가연구개발사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67 성장동력산업 AI 융합 촉진을 위한 법제 대응방안 1도토리 국준아
2066 성장동력산업 미국 혁신경쟁법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65 성장동력산업 교통물류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64 성장동력산업 공공·안전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063 성장동력산업 호주 인공지능 실행 전략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2062 성장동력산업 미국 연방기관의 인공지능 책임성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1도토리 국준아
2061 성장동력산업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060 성장동력산업 학술출판 서비스 인공지능 적용 현황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