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요 ◈ 우주개발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수단으로 AI가 주목받고 있음 ▶ 새로운 행성의 발견, 극한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부품의 개발, 인공위성 정보의 효과적 분석 등을 위해 AI가 주목받고 있음 ▶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을 의미하는 뉴스페이스는 우주개발에 AI의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 ◈ 우리 정부에서 발표하고 있는 우주정책에서는 AI를 2021년부터 위성영상분석에 계획하고 있어, 향후 우주개발정책에 AI활용을 다방면,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 ▶ 초소형위성기술은 우주 관련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을 증대시킬 것이며, 우주탐사기술의 발전은 극한환경에 필요한 부품, 우주탐사체 적용 등 우주분야에 AI 적용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본 고에서는 AI기술을 중심으로 우주개발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사업을 분석함으로써 AI를 활용한 국내우주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점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내용 1. AI의 우주적용 사례 ◈ 우주관측 ▶ 우주관측분야는 주로 망원경에서 수집한 자료를 AI를 통해 판독,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은하, 행성 등을 발견하는데 이용 - (영국) NASA의 TESS 망원경에서 수집한 관측자료에 기초하여 밝기 변화에 대한 AI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 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50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함 (Amstrong et. al., 2020) - (일본) 일본 국립천문대(NAOJ)는 스바루(すばる) 적외선 망원경 우주영상에 AI를 적용하고 있으며, 56만개의 은하를 발견한 것으로 언급(조병만, 2021) 2 AI TREND WATCH - (한국)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약 1,900개의 외부 은하 정보에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적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에 펼쳐져 있는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한국천문연구원, 2021) ◈ 인공위성 및 로켓 ▶ 인공위성의 영상정보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에 AI를 탑재하여 지구환경 관측에 이용 - (NASA) 2003년, 자동화우주연구시스템(autonomous sciencecraft experiment·ASE)을 통해 EO-1(Earth Observing-1)인공위성의 정보를 AI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으로 지구의 기상, 지질현상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음(윤희은, 2018) - (인텔) 인텔은 530km 상공 태양동조궤도에서 시속 2만 7,500km로 비행하는 AI 탑재 큐브위성 ‘파이샛-1’(PhiSat-1)을 2020년 9월에 발사하였으며, AI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 중 쓸만한 사진을 골라내는 역할을 담당(류준영, 2020) - (Relativity Space) AI와 ML SW를 결합함으로써 로켓 제조 과정의 모든 측면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2019년에 실시간 제어기능 AI 센서 특허등록(문재호, 2020) - (한국) 인공위성체계종합 기업인 쎄트렉아이는 AI를 이용한 인공위성영상 분석 전문기업인 에스아이에이를 자회사로 설립하여 국방과 감시정찰 분야에 진출(이현주, 2019) [그림 1] AI 탑재 인공위성(좌), AI로 분석한 암흑물질(우) 자료 : 류준영(2020), 한국천문연구원(2021) ◈ 로봇 및 기타 ▶ NASA는 AI 로봇인 사이먼(CIMON)을 우주정거장에서 실험 - 2018년, 우주정거장(ISS)에서 스스로 이동하는 약 5kg의 로봇인 사이먼을 시험운영(최성원, 2018) - 2024년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위해 우주복을 AI를 이용하여 개발(박혜섭,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