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훈 외(2021)가 2021년 4월과 5월 인공지능(AI)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5대 부문(제조, 교통물류, 금융, 공공·안전, 의료)을 대상으로 파악한 AI 도입 현황 가운데 공공·안전부문의 조사 결과를 정리 ▶ (조사 대상)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의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에 속하는 종사자 수 300인 미만 기업 37개와 300인 이상 기업 39개 ▶ (조사 내용 및 방법) AI 도입 현황, AI 도입 효과, 향후 AI 도입 의향, AI 인력·투자 현황, AI 도입을 저해하는 내·외부 장애요인 등에 관해 대상 기업의 AI 또는 전산 담당자를 면대면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AI 도입 현황) 종사자 300인 미만 37개 기관 가운데 11%(4개 기관)가, 300인 이상 39개 기관 가운데 36%(14개 기관)가 AI를 도입하고 있으며, AI 추가 도입이나 활용에도 긍정적 - 김경훈 외(2021)의 5대 부문 조사 전체에서 관찰되는 ‘종사자 수가 많을수록 AI 도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향’이 공공·안전 부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남 [그림 1] 공공·안전부문 AI 도입 현황 - 조사 대상 기관 대부분이 기관의 성과 개선에 AI가 지닌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AI의 추가 도입이나 활용에도 긍정적 10.8% 89.2% 0% 20% 40% 60% 80% 100% 공공·안전부문 전체 (n=76) 300인 이상 (n=39) 300인 미만 (n=37) 도입 미도입 35.9% 64.1% 23.7% 76.3% 2 AI TREND WATCH 주요 내용 ◈ (도입 AI 기술) 공공·안전 AI 도입 기관은 주로 ‘머신러닝(21.9%)’과 ‘언어지능(21.9%)’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AI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도입한 것으로 조사됨 ▶ 조사 대상이 직접 기재한 주로 사용하는 기술은 ‘머신러닝’과 ‘언어지능’임 [표 1] 공공·안전부문 기관 도입 AI 기술 (복수응답 허용) 머신러닝 언어 지능 추론·지식 표현 시각 지능 청각 지능 지능형 에이전트 범용 인공지능 상황, 감정이해 기타 300인 이상 (n=27) 18.5% 22.2% 18.5% 14.8% 7.4% 7.4% 3.7% 3.7% 3.7% 300인 미만 (n=5) 40.0% 20.0% 20.0% 0.0% 0.0% 0.0% 20.0% 0.0% 0.0% 총합계 (n=20) 21.9% 21.9% 18.8% 12.5% 6.3% 6.3% 6.3% 3.1% 3.1% ▶ 공공·안전부문 AI 도입 기관은 이들 기술을 ‘AI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44.4%)’하거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22.2%)’하여 도입한 것으로 조사됨 [표 2] 공공·안전부문 기관 AI 기술의 주된 도입 방법 AI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자체 개발 AI 기업 공동 개발 SaaS 기반 AI 사용 위탁 기타* 300인 이상 (n=14) 50.0% 21.4% 14.3% 0.0% 7.1% 0.0% 7.1% 300인 미만 (n=4) 25.0% 25.0% 0.0% 25.0% 0.0% 25.0% 0.0% 공공·안전부문 전체 (n=18) 44.4% 22.2% 11.1% 5.6% 5.6% 5.6% 5.6% * 기타는 조달청 발주를 통한 서비스 개발 ◈ (AI 활용 분야) 공공·안전기관은 AI를 주로 ‘민원’, ‘안전/보안’, ‘정보제공/통계분석’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도입 기관으로 하여금 AI 활용 분야를 기재하게 한 결과 챗봇(14%), 고객센터(11%), 무인민원(9%), 안전/돌봄 서비스(14%), 보안 (11%) 등을 언급함 ▶ AI 적용 분야를 직무로 한정할 때, 공공·안전기관 전체적으로 ‘고객지원 및 응대(42%)’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응답이었으며, 다음으로 ‘IT 자동화 및 사이버 보안(21%)’, ‘마케팅 및 영업 최적화(13%)’ 등의 순으로 응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