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공·안전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5
용량 2.0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공공·안전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pdf 2.0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15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0 

◈ 김경훈 외(2021)가 2021년 4월과 5월 인공지능(AI)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5대 부문(제조, 교통물류, 금융, 공공·안전, 의료)을 대상으로 파악한 AI 도입 현황 가운데 공공·안전부문의 조사 결과를 정리 ▶ (조사 대상)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의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에 속하는 종사자 수 300인 미만 기업 37개와 300인 이상 기업 39개 ▶ (조사 내용 및 방법) AI 도입 현황, AI 도입 효과, 향후 AI 도입 의향, AI 인력·투자 현황, AI 도입을 저해하는 내·외부 장애요인 등에 관해 대상 기업의 AI 또는 전산 담당자를 면대면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AI 도입 현황) 종사자 300인 미만 37개 기관 가운데 11%(4개 기관)가, 300인 이상 39개 기관 가운데 36%(14개 기관)가 AI를 도입하고 있으며, AI 추가 도입이나 활용에도 긍정적 - 김경훈 외(2021)의 5대 부문 조사 전체에서 관찰되는 ‘종사자 수가 많을수록 AI 도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향’이 공공·안전 부문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남 [그림 1] 공공·안전부문 AI 도입 현황 - 조사 대상 기관 대부분이 기관의 성과 개선에 AI가 지닌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AI의 추가 도입이나 활용에도 긍정적 10.8% 89.2% 0% 20% 40% 60% 80% 100% 공공·안전부문 전체 (n=76) 300인 이상 (n=39) 300인 미만 (n=37) 도입 미도입 35.9% 64.1% 23.7% 76.3% 2 AI TREND WATCH 주요 내용 ◈ (도입 AI 기술) 공공·안전 AI 도입 기관은 주로 ‘머신러닝(21.9%)’과 ‘언어지능(21.9%)’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주로 AI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도입한 것으로 조사됨 ▶ 조사 대상이 직접 기재한 주로 사용하는 기술은 ‘머신러닝’과 ‘언어지능’임 [표 1] 공공·안전부문 기관 도입 AI 기술 (복수응답 허용) 머신러닝 언어 지능 추론·지식 표현 시각 지능 청각 지능 지능형 에이전트 범용 인공지능 상황, 감정이해 기타 300인 이상 (n=27) 18.5% 22.2% 18.5% 14.8% 7.4% 7.4% 3.7% 3.7% 3.7% 300인 미만 (n=5) 40.0% 20.0% 20.0% 0.0% 0.0% 0.0% 20.0% 0.0% 0.0% 총합계 (n=20) 21.9% 21.9% 18.8% 12.5% 6.3% 6.3% 6.3% 3.1% 3.1% ▶ 공공·안전부문 AI 도입 기관은 이들 기술을 ‘AI 상용 소프트웨어를 구매(44.4%)’하거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22.2%)’하여 도입한 것으로 조사됨 [표 2] 공공·안전부문 기관 AI 기술의 주된 도입 방법   AI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활용 자체 개발 AI 기업 공동 개발 SaaS 기반 AI 사용 위탁 기타* 300인 이상 (n=14) 50.0% 21.4% 14.3% 0.0% 7.1% 0.0% 7.1% 300인 미만 (n=4) 25.0% 25.0% 0.0% 25.0% 0.0% 25.0% 0.0% 공공·안전부문 전체 (n=18) 44.4% 22.2% 11.1% 5.6% 5.6% 5.6% 5.6% * 기타는 조달청 발주를 통한 서비스 개발 ◈ (AI 활용 분야) 공공·안전기관은 AI를 주로 ‘민원’, ‘안전/보안’, ‘정보제공/통계분석’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도입 기관으로 하여금 AI 활용 분야를 기재하게 한 결과 챗봇(14%), 고객센터(11%), 무인민원(9%), 안전/돌봄 서비스(14%), 보안 (11%) 등을 언급함 ▶ AI 적용 분야를 직무로 한정할 때, 공공·안전기관 전체적으로 ‘고객지원 및 응대(42%)’에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응답이었으며, 다음으로 ‘IT 자동화 및 사이버 보안(21%)’, ‘마케팅 및 영업 최적화(13%)’ 등의 순으로 응답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8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표준화 현황 3도토리 이지훈
2088 성장동력산업 신뢰할 수 있는 AI 실현을 위한 국내외 정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87 성장동력산업 규제의 역설과 인공지능 규제에 대한 시사점 3도토리 노민우
2086 성장동력산업 해외 인공지능 클러스터의 성공 요인 분석 3도토리 이지훈
2085 성장동력산업 물류 인공지능을 위한 필수조건, 물류 디지털 전환과 빅데이터 1도토리 국준아
2084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1도토리 이지훈
2083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인공지능 도입 유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1도토리 노민우
2082 성장동력산업 우주분야 AI 국가연구개발사업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081 성장동력산업 AI 융합 촉진을 위한 법제 대응방안 1도토리 국준아
2080 성장동력산업 미국 혁신경쟁법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79 성장동력산업 교통물류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공공·안전부문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077 성장동력산업 호주 인공지능 실행 전략 주요 내용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2076 성장동력산업 미국 연방기관의 인공지능 책임성 프레임워크 주요 내용 1도토리 국준아
2075 성장동력산업 언어장벽 없는 세상 실현을 위한 AI 자동 통역 발전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074 성장동력산업 학술출판 서비스 인공지능 적용 현황 1도토리 이지훈
2073 성장동력산업 AI행정에 관한 법제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2072 성장동력산업 산업간 융합을 가속화하는 인공지능: 웰케어(Wellcare) 산업의 사례 1도토리 국준아
2071 성장동력산업 5G시대, 실감산업 발전 방법 연구 7도토리 이지훈
2070 성장동력산업 AI 연구 지수 개발과 성과 결정 원인 분석 연구 7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