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데이터 경제는 마케팅, 광고, 정보제공업 등 간접매출의 비중이 줄어들고 데이터의 직접 활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 ▶ 이는 기업과 산업 전반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수요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데이터 산업 또한 연구개발과 업무 프로세스 개선 방향으로 고도화되는 경향을 반영 ◈ 우리나라 정부는 민간과 공공영역의 디지털 전환과 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 ▶ 이를 통해 산업, 연구, 공공 등 여러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실사례 축적과 데이터 경제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노력 ◈ 향후 데이터 경제는 정보의 양과 데이터 독점을 통한 우위보다는 활용 능력이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것이며, 제도 개선과 인력양성을 포함한 지속, 장기적인 투자를 통해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필요 ▶ 이를 위하여 기존 데이터 보유 기업의 역량 강화와 더불어, 분석 역량을 갖춘 스타트업들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경제적 유인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 개편이 필요 ◈ 우리나라 데이터 경제의 확장세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K-Data)에서 발간하는 ‘데이터산업 현황조사’의 데이터 산업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음 ▶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매년 발표하는 데이터 산업 현황조사에서는 데이터 산업을 ①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②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③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으로 구분(대분류)하여 파악하고 있으며 세부시장의 정의와 예시는 다음과 같음 ▶ 회색 음영 부분은 최근 성장세가 높은 분야로써 이후 부연 설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