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지능형 로봇, 드론 및 스마트 팩토리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29
용량 4.84MB 필요한 K-데이터 9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지능형 로봇, 드론 및 스마트 팩토리 시장분석.pdf 4.8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0-02-0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123 

[ 목 차 ]

 

1. 지능형 로봇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로봇산업, 이제 시작이다
  (1) 급격한 노동환경 변화, 반대급부로 로봇시장 부각
  (2) 생산 패러다임의 전환
  (3) 로봇산업에 투자해야 할 때
 3)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유럽, 미국, 중국, 일본)
  (2) 국내 정책
 4) 국내외 로봇시장 및 가치사슬 분석
  (1) 국내외 로봇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산업용 로봇 분석
   가. 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14.0% 성장세
   나. 협동로봇 시장 개화기
   다. 국내 산업용 로봇산업 진단
  (3) 가치사슬 분석
  (4) 주요 이슈 분석
 5)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 기술
  (2) 국내 기술개발 분석
  (3) 기술개발 시나리오
 5) 기업의 시장대응 전략
 6) 국내 전략품목 선정
 7) 수술로봇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 수술로봇의 개요
  (2) 수술로봇 기술동향
  (3) 수술로봇 시장현황
  (4) 수술로봇 미래전망
  (5) 관련제언

 

2. 드론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2)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2) 국내 정책
 3) 국내외 시장 및 가치사슬 분석
  (1)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가치사슬 분석
  (3) 주요 이슈 분석
 4)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기술
  (2) 국내 기술
  (3) 기술개발 시나리오
 5) 기업의 시장대응 전략
 6) 국내 전략품목 선정


3. 스마트팩토리 분야
 1) 세계시장 분석 및 전망
  (1) 세계시장 규모
  (2) 해외 정책동향
 2) 국내시장 분석 및 전망
  (1) 국내시장 규모
  (2) 국내 정책 방향
 3) 가치사슬 분석
 4) 주요 이슈
  (1) 해외 산업이슈
  (2) 국내 산업이슈
  (3) 제조업의 패러다임 변화
 5) 스마트팩토리 기술 분석
  (1) 해외 동향
  (2) 해외 업체 동향
  (3) 국내 동향
  (4) 국내 업체 동향
  (5) 국내 검토중인 기술개발 지원책
 6) 국내 기업의 시장 대응전략
  7) 전략품목 선정

 


 

1. 지능형 로봇 분야 1) 개념 정의 및 범위 ▣ 정의 □ 지능형로봇은 외부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장치에 대한 제품, 부품 및 이와 관련된 기술의 개발 및 보급을 담당하는 분야. ▣ 범위 및 분류 □ 2017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로봇산업 특수 분류는 제조업용 로봇, 전문서비스 용 로봇, 개인서비스용 로봇, 로봇부품 및 부분품, 로봇시스템, 로봇 임베디드, 로봇서비스로 구분.자료 : 중소벤처기업부(2019.01) □ 지능형 로봇은 크게 제조 및 비제조용으로 나뉘며, 비제조용 로봇은 개인서비스, 전문서비스로 나뉨 ▪ 제조용 로봇의 분야는 산업 현장에서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기계로, 머니퓰레이터 로봇 플 랫폼, 이동용 플랫폼, 로봇용 제어기, 로봇용 센서 등으로 나뉨 ▪ 비제조 로봇 중 개인서비스 로봇의 경우 생활 편의를 목적으로 사람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으로, 가사지원, 교육, 엔터테인먼트, 실버케어 등의 분야로 나뉨 ▪ 한편, 전문 서비스 로봇의 경우 재난 구조, 의료 등 불특정 다수를 위해 특수 제작된 로봇으로, 필드 로봇, 전문청소, 검사 및 유지보수, 건설 및 철거, 유통 물류, 의료, 구조 및 보안, 국방 등 분야로 나 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28 성장동력산업 한국 소프트웨어(S/W) 산업의 혁신성장 모델 연구 : 인력투입 주도 산업에서 제품·서비스 주도의 산업으로 7도토리 국준아
2027 성장동력산업 국가통계 인공지능 도입 증진 방안 연구 7도토리 나혜선
2026 성장동력산업 2021년 S/W산업 10대 이슈 전망 7도토리 강정훈
202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BNK금융지주 강력한 비용 효율화 의지와 배당 정책 1도토리 장민환
202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엘리베이 매출 회복에도 원가 부담 1도토리 장민환
202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컴투스 신작 출시 일정 지연됐지만, P2E 라인업 증가 1도토리 장민환
202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제이콘텐트리 기다리면 결국 보여준다 1도토리 장민환
20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CJ대한통운 기대를 소폭 하회한 실적 1도토리 장민환
202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BGF리테일 위드코로나 수혜주 1도토리 장민환
201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컴투스홀딩스 실적보다는 블록체인 사업 향방이 중요 1도토리 장민환
201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컴투스 실적은 부진하나 P2E 게임, 메타버스 공격적 행보 주목 1도토리 장민환
201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CJ프레시웨이 2022년 가장 강력한 실적 모멘텀 기대 1도토리 장민환
201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쌍용C&E 부담을 떨쳐버리는 순간 에는 1도토리 장민환
20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 키옥시아 생산 차질로 NAND 상승세 전환 예상 1도토리 황세영
201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우리종금 IB 중심으로 사 세 확장 중 1도토리 장민환
20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IT-당신의 주식, 친중입니까, 친미입니까 1도토리 이지훈
201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JB금융지주 조용하지만 꾸준히 기업가치가 상승 중 1도토리 장민환
201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차세대 신사업 향방 주목 1도토리 admin
201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팬오션 시황, 실적 모두 1분기 바닥 1도토리 정한솔
200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전자 메모리 업황 개선 본격화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