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3월 글로벌 및 한국 경제 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39 | |
---|---|---|---|---|---|---|
용량 | 932.18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32.18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0 |
국내 경제동향
수출입 : 반도체 수출은 소폭 감소했으나 무선통신기기 · 자동차 호조로 플러스 전환
• (수출) 2 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0% 증가한 526 억 달러
- 무선통신기기 (+ 42.3%), 컴퓨터 28.5 %), 자동차 17.8 %) 등은 증가했으나 , 반도체 △ 3.0%) 는
범용 제품 단가 하락으로 감소 전환
- 미국 수출 ((+1.0%) 은 컴퓨터 등 IT 품목 호조로 증가 전환했으나 , 중국 수출 (△ 1.4%) 은 반도체 수출 감소 영향으로 소폭 감소
• (수입) 2월 수입은 반도체 장비 등 수입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0.2% 증가한 483 억 달러
•(무역수지) 2월 43억 달러 흑자로 1월 적자폭 (△19 억 달러)을 초과해 1~2 월 누적 무역수지 24.4 억 흑자 기록
교역 조건 : 반도체 가격 , 유가 및 원 달러 환율 하락 영향으로 수출입물가 전월 대비 하락 전환
•(수출물가) 2 월 수출물가 (원화기준)는 환율 및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전월 대비 0.6% 하락 , 전년동월 대비 6.3% 상승
•(수입물가) 2 월 수입물가 (원화기준)도 유가 및 환율 하락 영향으로 전월 대비 0.8% 하락 , 전년동월 대비 4.6% 상승
국내외 금융시장 동향
금리 : 미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 약화 등으로 안정세 유지
•(미국) 트럼프발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등 물가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미연준의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확대로 단기
금리(국채 3개월물)와 장기 금리 (국채 10년물)가 4.2~4.3% 대에서 안정세 유지
•(한국) 국고채 금리 (3년물)는 한은의 금리인하 발표(2.75 %, 2/25)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및 환율 불안정성 등으로
당분간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기대 확산으로 2.5~2.6% 대 유지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