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글로벌 인공지능 경쟁 현황 속 중국 기술의 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41 | |
---|---|---|---|---|---|---|
용량 | 815.36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815.36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0 |
□ 중국은 생성형 AI 특허 출원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며 기술 주도권 경쟁에서 선도국으로 부상 중
❍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의 ‘생성형 AI 특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2023년 동안 중국의 생성형 AI 특허 출원 수는
총 38,000건으로, 2위인 미국(6276건)의 6배 이상 수준임
- 텐센트, 핑안보험, 바이두, 중국과학원,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업들이 다출원 기업 10위권 내에 대거 포함
❍ 특허 출원에서의 우위를 바탕으로 중국은 생성형 AI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 표준 설정과 산업 지배력을 강화해 나갈 것으로 전망
□ ‘딥시크(DeepSeek)’ 등장과 함께 중국은 AI 글로벌 생태계 오픈소스 중심지로 부상하며, 글로벌 생성형 AI 경쟁의 판도가
빠르게 변화되고 있음
❍ 딥시크는 오픈 소스 생태계를 전략적으로 강화하며, 글로벌 AI 인재 및 개발자들을 중국 생태계로 끌어 들이는 중
중국의 AI 기술 자립 동향
□ 미국은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개발을 지연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음
❍ 미국은 기존 AI 칩 H800에 대한 수출제한을 강화했으며, 최근에는 이보다 더 사양이 낮은 H20 칩까지 규제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방안을 고려 중
※ H20의 성능은 중국에 수출이 금지된 H100 대비 약 1/5의 수준 (H20: 296TFLOPS, H100: 1,979TFLOPS)
❍ 또한, AI 프로세서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소프트웨어 및 장비 등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규제를 확대
□ 딥시크의 등장과 오픈소스 AI 생태계의 확장은 중국이 기존 국가 주도 AI 전략에서 벗어나 글로벌 협력을 확대하면서도
규제 감독을 유지하는 전략적 변화를 나타냄
❍ 딥시크는 낮은 하드웨어 요구와 저비용으로 미국 OpenAI 모델에 근접한 성능을 구현하며 글로벌 AI 개발자들을 유입시키고,
허깅페이스에 오픈소스로 공개하여 국제적 AI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