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30.4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황.pdf 30.4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3-2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관세 부활시킨 트럼프, 기로에 선 일본 자동차 업계

 

트럼프 2기 출범 후 멕시코, 캐나다 대상 관세 부과 발표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취임 전인 지난해 11월부터 우방국인 멕시코와 캐나다를 대상으로 25%의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한 바 있으며, 중국에도 10% 추가 관세 부과를 발표하며 보호무역주의 및 자국 우선주의뢰의 회귀를 알렸다. 이에 따라 미국 수출을 목적으로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및 부품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향후 관세 부담 증가에 따른 불안감이 확산되며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협상 카드로 활용하는 전략을 재현하고 있는 만큼 실제 발효 여부는 더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섣부른 대응은 위험하다"는 입장도 내놓았으나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3월 4일,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대해 25% 추가관세를 공식 발표하며 일본의 자동차 업계에는 적신호가 켜졌다. 다행히 자동차에 대한 관세 적용은 4월 2일까지 약 한 달간 유예됐지만, 철회가 아닌 유예 조치인 만큼 자동차 업계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일본 자동차업계의 멕시코 진출 현황

 

일본 자동차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 1기부터 지속된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를 활용한 니어쇼어링(근거리 아웃소싱) 전략을 추진해왔다. 이에 따라 멕시코와 캐나다로 생산 공장을 이전하며 공급망을 다각화해왔다.

토쿠라 마사카즈 일본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 회장은 2024년 11월 26일,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USMCA 체결을 전제로 현지에 제조 거점을 둔 일본 기업이 많다”며,

“관세가 실제 부과될 경우 일본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일본 외무성에서 집계한 「해외진출 일본기업 거점수 조사(23년 기준)」에 따르면 멕시코 진출 일본 기업은 총 1498개사,

캐나다 진출 기업은 총 982개사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멕시코일본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내 회원사 537개사 기준(2023년 말) 업종별 구성은 △자동차·부품 36%, △상업 13%, △운수∙물류∙창고 8%, △그 외 제조업 7%, △그 외 서비스 7%, △전기∙전자기기 6% 순으로 나타났다. 멕시코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도요타, 혼다, 닛산, 마쓰다 등 완성차 제조업체의 공장이 집적되어 있으며 캐나다는 ‘자동차의 도시’로 알려진 미국 디트로이트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온타리오주를 중심으로 혼다, 도요타 등의 완성차 공장이 위치해 있다.

 

日 싱크탱크가 분석한 트럼프 관세가 일본 자동차 업계에 미치는 영향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안한 25% 수입 관세가 일본 자동차 업계에 미칠 영향을 두고 일본 내 주요 싱크탱크들 또한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일본종합연구소는 일본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 산업의 북미 매출 의존도가 약 21%에 달하기 때문에, 북미 시장에서의 수익 환경 악화가 국내 고용 감소와 설비 투자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관세 부과 시 일본 자동차 생산량이 4.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며, 자동차 부품 등 중간재에도 영향을 미쳐 산업 전체적으로 약 0.6%의 하방 압력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마쓰다와 닛산은 멕시코로부터의 수입 비중과 부품 조달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더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차종별로는 일본 제조업체들이 강점을 갖고 있는 세단과 소형 SUV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지만, 중·대형 SUV 및 픽업트럭 분야에서는 가격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한다.

 

 

 

 

 

 

 

 

 

---------------------------------------------------------------------------------------------------------------------------------------------------------

 

 

 

 

 

 

 

 

 

일본.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2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식량 위기에 따른 대응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황 3도토리 국준아
82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및 체계 구성 구축의 필요성 5도토리 국준아
8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차세대 원자로 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지능형 로봇 산업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 동향 5도토리 국준아
8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SDV 관련 주요현황과 기술동향 13도토리 국준아
82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 과학기술 트렌드 및 ICT 산업의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헬스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5년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신약개발 현황 및 정책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현황 5도토리 노민우
82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과 상반되는 유럽연합의 그린성장 정책의 전략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AI 자동화 도입을 통한 25년 미국 노동시장의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
82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13도토리 노민우
82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의 발전에 따른 국내외 글로벌 트렌드와 관련 유망산업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대한민국 2분기, 수출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82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절단,절삭 공구용 고경도, 고인성 표면경화 열처리 기술개발(핵심소재) 3도토리 노민우
828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전자부품용 기판 온도 균일도 ±5℃급 국부가열 접합공정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이종 소재 간 고강도 접합을 위한 습식 표면처리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선택적 광반사각 제어 가능한 고내구성 광학 필름 제조 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