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차세대 원자로 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38 | |
---|---|---|---|---|---|---|
용량 | 4.67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4.6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92 |
1) 차세대 원자로 산업의 정의
■ 핵분열 반응을 이용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원자로 중 전기 출력 규모가 300MWe 이하이고 모듈* 개념으로
건설할 수 있는 소형모듈원자로의 설계, 제조・건설, 운영, 해체와 핵연료의 채광부터 처리까지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산업
*증기발생기, 원자로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원전 주요기기들을 일체형으로 설계·제작하고 공장에서 부분적으로 제조되고 시험을
거친 모듈을 현장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공법
2) 국내 정책동향
■ 국내에서는 에너지, 전력, 원자력 등과 관련된 종합계획을 통해 원전 생태계 전주기 지원을 바탕으로 원전 및
차세대 원자로 산업의 발전 도모
SMR 개발과 상용화, 차세대 원자로 기술 확보, 안전규제 체계 마련, 민관협력 기반 강화,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에
이르는 종합적인 전략 추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5대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인 ‘에너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원전 산업 핵심 생태계 유지’를 제시
-원자력 분야의 미래 유망분야 중 하나로 중소형 원자로를 제시하고 연구・산업기반 조성 추진
(제3차 원자력안전종합계획) 제3차 원자력안전종합계획(’22~’26)의 12대 추진전략 중 하나로 ‘전략적 R&D 확대 및
특성화된 국제협력으로 규제 전문성 강화’를 제시하였으며 SMR 관련 규제기술 R&D 추진 내용 포함
-미래 SMR 관련 예상되는 규제(표준설계인증 등) 수요에 대비한 R&D 추진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 제6차 원자력진흥종합계획(’22~’26)의 기본방향으로 ‘SMR 新시장 개척과 원전 수출시장 확장’을 제시
- 12대 정책방향 중 하나로 ‘4. 선도적 기술혁신과 정책지원으로 미래 원전 시장 선점’을 제시하였고 기술혁신에 i-SMR 개발이 포함*
1) 국외 시장동향
가. SMR 시장
■ (시장규모) 글로벌 SMR 전체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58억 달러~98억 8천만 달러
(한화 약 7조 4,704억 원~12조 7,317억 원*)로 평가되고 있고 2032년까지 연평균 2.3%~9.1% 성장할 것으로 예상 24)25)26)27)28)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3년 평균 환율인 1,288원/달러 적용
(북미) 미국의 주요 기술 개발과 상업화로 인해 북미는 SMR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 8.9%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아시아) 아시아 지역은 중국과 인도의 주도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연평균 성장률 9.4%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유럽) 유럽은 에너지 안보 및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SMR 기술을 적극적으로 연구 중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