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지능형 로봇 산업 현황 및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39 | |
---|---|---|---|---|---|---|
용량 | 14.81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4.8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02 |
1) 지능형 서비스 로봇 산업의 정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 산업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센서 기술, 데이터 통신 등 여러 첨단 기술이 통합되어 상황판단 및 자율이동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로봇을 통하여 물류, 농업, 공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지능형 서비스 로봇은 서비스 로봇*에 AI,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등 여러 첨단 기술이 결합된 형태로 상황판단과 자율이동 기능을
통해 외부 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서비스 로봇은 기존의 산업·제조 이외의 분야에서 인간을 대신하여 복지나 전문적인 작업을 위해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으로 개인 서비스용 로봇과 전문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
- (개인 서비스용 로봇) 인간의 생활 범주에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간 공생형 대인지원 로봇
- (전문 서비스용 로봇)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전문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1) 국외 정책동향
가. 미국
미국은 연구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을 목표로 지능형 로봇 관련 기술 개발 및 시장 성장에 대한 지원 추진
(미국 로보틱스 로드맵) 로봇 공학 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으로 기술 통합,
연구 개발, 교육, 정책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로봇 산업의 발전을 지원
- (1차 로드맵, ’09년) 미국이 로봇 공학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하고, 다양한 산업에 로봇 기술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며, 미국 로봇 계획의 근간 마련
- (2차 로드맵, ’13년) 제조업·의료·헬스케어·서비스업·우주·군사 등 6개 분야의 로봇 개발 계획 제시
- (3차 로드맵, ’16년) 제조, 차세대 서비스 로봇, 보건의료, 재활 및 복지, 국방·재난 안전, 우주 등의 분야에서 신기술 통합
프레임워크 및 인력 양성 필요성 포함
- (4차 로드맵, ’20년) 재료·통합 센서·계획 및 제어 방법 연구, 상황 인지 성능 향상, 신기술 활용을 위한 인력 훈련 포함
- (5차 로드맵, ’23년) 유럽, 중국 등 해외국에 로봇 기술력 및 활용 뒤처질 위험을 인지하여 로봇 공학에 대한 기초연구를 강화하기
위한 주요 연구과제와 활용 분야 제시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