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 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37 | |
---|---|---|---|---|---|---|
용량 | 1.56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5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9 |
AI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한 AI 에이전트
▸ AI 에이전트(AI Agent 또는 Agentic AI)가 AI 분야의 2025년 주요 트렌드로 부상
- 가트너(Gartner, IT분야 전문 컨설팅社)는 2025년의 10가지 전략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Agentic AI’를 선정2)
- 젠슨 황(Jensen Huang, NVIDIA社 CEO)는 '25년 1월 CES 기조연설에서 ‘AI 에이전트가 수조 달러 규모의 산업을 주도하고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발언3)
▸ 단순 대화 응답에 국한된 기존 챗봇과 달리, AI 에이전트는 자율적·범용적 업무 수행을 위한 기술적 특징을 가짐
- 브라우저 등 외부 응용 프로그램과의 통합으로 AI 에이전트가 데이터 및 인터페이스를 직접 조작하며,
멀티모달 기반 맥락 이해 강화와 적응형 학습(Adaptive learning)으로 사용자 피드백 및 환경 상호작용 최적화
▸ '24년 하반기 이후 Anthropic의 ‘Computer Use’, OpenAI의 ‘Operator’, 그리고
중국 스타트업 Butterfly Effect의 ‘Manus AI’ 등 AI 에이전트 서비스 잇따라 출시
- 다만, 아직 주요 기능은 실험적이거나 초기(베타)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음
AI 에이전트의 유형
업무용 AI 에이전트의 유형은 AI 챗봇, 컴퓨터 사용 에이전트(CUA: Computer-Using Agent),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등으로 구분될 수 있음
- AI 챗봇: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활용한 외부 지식 정보 접근, 외부 시스템과 상호작용 및 목표 달성을 위한 연속 작업 처리
및 대기열 활용 등 발전된 프레임워크가 적용된 챗봇은 고전적인 챗봇 대비 향상된 자율성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함
* 예) RAG가 적용된 LLM 챗봇 서비스(GPT-4o, Perplexity 등)
- 컴퓨터 사용 에이전트(CUA): AI가 직접 인간처럼 컴퓨터를 사용해 웹 탐색 등 작업을 수행하며, 시스템 전체에 엑세스하는 방식과
가상 머신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됨
* 예) ‘Computer Use’, ‘Operator’ 등
-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AI 에이전트를 활용해 복잡한 업무를 분할·배분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이 개념에 부합하는 AI 에이전트는 아직 개발되지 않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