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SDV 관련 주요현황과 기술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37 | |
---|---|---|---|---|---|---|
용량 | 3.85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3.85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60 |
1) SDV 산업의 정의
■ SDV(Software-Defined Vehicle) 산업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산업으로 번역되며 전통적인 자동차 산업이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플랫폼화되어 새로운 산업과 융합된 형태로 협의와 광의적 측면에서 구분 가능
(협의의 SDV 산업) 차량의 기능 및 성능을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정의하고 개발하는 자동차 산업
(광의의 SDV 산업) 자동차 제조 및 개발뿐 아니라 모빌리티 플랫폼과 SW플랫폼 기반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산업, 통신산업, 콘텐츠산업 등 다양한 분야가 참여하는 플랫폼 기반 산업
-기존 자동차 산업이 하드웨어 설계와 제조 중심으로 이뤄졌다면 SDV 산업하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업데이트를 중심으로
기능을 구성하고 지속적 개선 및 기능 추가가 가능
-전통적인 차량은 하드웨어 중심의 고정된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SDV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기능을 추가, 변경, 개선 가능
SDV는 차량의 주요 기능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동되는 자동차로서 가치와 핵심경쟁력이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1)되는 전환을 의미
- 수년 내 새롭게 등장한 개념으로 범위와 구성 등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으나 디지털 전환과 함께 모빌리티 산업에서
가장 각광받는 개념으로 부상
1) 국외 정책동향
가. 미국
■ 미국은 새로운 분야인 SDV를 명확하게 규정된 정책대상이 아닌 주요 기능 및 기술에 대한 정책을 제시
SDV 관련 정책은 주로 자율주행, 전기차, 사이버 보안 등을 중심으로 규제와 지원 추진
■ 미국의 SDV 관련 기능 및 기술별 주요 정책은 주요 자율주행 분야를 중심으로 추진 중
오바마 행정부는 2012년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연방정부의 지원을 약속하고, 각 주 정부에 자율주행차 테스트 허가 권한 부여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규제 완화를 추진,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 증액
바이든 행정부는 2021년 인프라 투자 법안을 통해 자율주행차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 안전 기준 마련하고 행정명령을 통해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 강화 지시, 자동차 산업의 사이버 보안 위협에 대한 대응 강화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