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주요 과학기술 트렌드 및 ICT 산업의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7.03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주요 과학기술 트렌드 및 ICT 산업의 전망.pdf 7.0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3-2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9 

2025년 기술 트렌드의 배경

 

주요 기관들이 선정한 2025년 기술 트렌드는 1) 트럼프 2.0 시대의 산업과 기술 정책의 향방, 2) AX(인공지능의 대전환) 3) 양자 컴퓨터 시대, 4) 로봇 시대의 현실화, 5) Clean Tech 투자와 경제성 확보 등의 이슈가 공통적인 배경이 됨
 

1) 트럼프 2.0 시대의 산업과 기술 정책의 향방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기술 패권 전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인공지능, 우주산업, 자동차 산업을

중점적으로 육성할 전망
 

- 또한 중국의 산업 경쟁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중국에 대한 견제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해밀턴 지수*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중국이 전략적으로 중요한 산업을 지배하고 있다고 발표

 

* 국가 및 지역 첨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평가하는 지수

 

※ 중국은 큰 내수시장, 가격 경쟁력, 해외 기업 유치 등을 통해 첨단 산업 제조 분야의 중심 국가로 성장하며,

     2020년 기준으로 첨단 산업 분야 10개 중 7개 분야에서 리더를 차지

 

주요 동향(1) : 과학기술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정보기술 및 사이버보안 부문 정책 성과 개괄

 

백악관 관리예산실(OMB)은 바이든 행정부 동안 국가 정보기술 및 사이버보안 부문과 관련한 연방 최고정보책임자실(OFCIO)*의

정책 성과 개요를 정리**(’24.12.)
 

* Office of the Federal Chief Information Officer; 관리예산실 산하 조직으로, 범정부 디지털 혁신 전략 주도 역할 수행
** 2024 IMPACT REPORT

 

OFCIO는 미국인에게 원활하며 안전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음의 네 가지 부문을 중심으로 정부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

 

1) 사이버보안 강화


- ‘국가 사이버보안 개선 행정명령(’20년)*’의 방향에 따라 2022년 연방정부의 제로 트러스트 전략**을 발표하고 연방 시스템 보안

   강화 및 대응 노력*** 추진
* 2020년 SolarWinds 해킹 사태 이후, 연방기관에 사이버보안 태세를 강화하고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와 같은

   현대적인 보안 관행으로 전환할 것을 명령(EO 14028)

** Moving the U.S. Government Towards Zero Trust Cybersecurity Principles(M-22-09)
*** 소프트웨어 보안 강화, 다단계 인증(MFA) 및 암호화, 사고 탐지 및 조사 역량 강화 등

 

- 동 행정명령에 따른 각 기관의 목표 달성 및 주요 사이버 조치 실행 현황을 추적한 ‘사이버보안 진행 상황 보고서*’를

   2022년부터 발간 개시

 

 

 

 

 

 

 

 

 

 

 

---------------------------------------------------------------------------------------------------------------------------------------------------------

 

 

 

 

 

 

 

 

 

 

 

양자.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2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식량 위기에 따른 대응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황 3도토리 국준아
82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및 체계 구성 구축의 필요성 5도토리 국준아
8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차세대 원자로 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지능형 로봇 산업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 동향 5도토리 국준아
8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SDV 관련 주요현황과 기술동향 1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 과학기술 트렌드 및 ICT 산업의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헬스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5년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신약개발 현황 및 정책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현황 5도토리 노민우
82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과 상반되는 유럽연합의 그린성장 정책의 전략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AI 자동화 도입을 통한 25년 미국 노동시장의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
82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13도토리 노민우
82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의 발전에 따른 국내외 글로벌 트렌드와 관련 유망산업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대한민국 2분기, 수출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82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절단,절삭 공구용 고경도, 고인성 표면경화 열처리 기술개발(핵심소재) 3도토리 노민우
828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전자부품용 기판 온도 균일도 ±5℃급 국부가열 접합공정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이종 소재 간 고강도 접합을 위한 습식 표면처리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선택적 광반사각 제어 가능한 고내구성 광학 필름 제조 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