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9
용량 23.12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pdf 23.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3-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82 

딥시크의 등장과 배경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스타트업인 딥시크(창업자: 량원평)가 전 세계 AI 산업계에 상당한 파급력을 갖는 DeepSeek-R1 모델

(이하 R1 모델)을 출시1, 2
 

● 딥시크의 추론형 AI 모델 ‘R1’과 ‘R1-Zero’*는 AI 연구 커뮤니티와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화제로 부상3


* R1-Zero는 강화학습만으로 학습된 모델로 지도학습 기반 파인튜닝(Supervised Fine-Tuning, SFT)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이며, 반면에 R1은 소량의 콜드스타트 데이터(Cold-start Data)와 다단계 학습과정을 통해

더욱 향상된 성능과 가독성을 제공하는 모델
 

● 딥시크는 R1 모델 발표와 함께 AI 산업에서 핵심 플레이어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가성비 높은 AI 모델로서의 입지를 구축해 가는 추세
 

오픈AI 및 구글은 기반모델을 개발하여 폐쇄적인 형태로 운영하는 반면,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R1 모델 개발4


●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지식 증류와 다단계 강화학습과 같은 비용 절감 기술을 도입하여 AI 모델의 효율성을 향상5
 

● R1 모델은 AI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문가 혼합(Mixture-of-Experts, MoE) 기술을 활용
 

● 딥시크는 벤치마킹 평가 결과를 통해 R1 모델이 GPT-4 모델과 경쟁할 만한 성능을 기록했다고 주장

 

미국의 AI 안전·신뢰성 정책 흐름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가 AI R&D 전략 계획을 최초로 수립


● 오바마 행정부는 2016년 10월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행정부의 보고서’를 발간*하며 인공지능의 기회,

    고려사항과 향후 과제를 전반적으로 검토

 

* ‘미래 인공지능의 준비(NSTC1, 2016.10.)’와 ‘국가 AI 연구개발 전략’이라는 두 개의 보고서 발간

 

- ‘미래 인공지능의 준비’ 보고서에서는 AI의 현재 상태, 기존 및 잠재적 응용 분야, AI의 발전이 사회와 공공 정책에 제기하는 질문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추가 조치에 대한 권고사항도 제시

 

- ‘국가 AI 연구개발 전략’ 보고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공익을 증진하고 정부 운영을 개선하는 방법,

   혁신을 장려하는 동시에 대중을 보호하는 여러 정책 권고사항*을 제시

 

* 2016년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이 주도한 전국 공동 워크숍 5회, 161건의 정보요청(RFI) 내용 포함, 23개의 정부 정책 권고안 제시

 

 

 

 

 

 

 

 

 

---------------------------------------------------------------------------------------------------------------------------------------------------------

 

 

 

 

 

 

 

 

 

 

토큰개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2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식량 위기에 따른 대응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황 3도토리 국준아
82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초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및 체계 구성 구축의 필요성 5도토리 국준아
8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차세대 원자로 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지능형 로봇 산업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인공지능 기술 개발 동향 5도토리 국준아
8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국 SDV 관련 주요현황과 기술동향 13도토리 국준아
82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주요 과학기술 트렌드 및 ICT 산업의 전망 13도토리 국준아
8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헬스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 및 전망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29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5년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신약개발 현황 및 정책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철강산업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현황 5도토리 노민우
82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과 상반되는 유럽연합의 그린성장 정책의 전략 및 전망 분석 5도토리 노민우
828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AI 자동화 도입을 통한 25년 미국 노동시장의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13도토리 노민우
82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의 발전에 따른 국내외 글로벌 트렌드와 관련 유망산업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대한민국 2분기, 수출산업 현황 및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828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절단,절삭 공구용 고경도, 고인성 표면경화 열처리 기술개발(핵심소재) 3도토리 노민우
828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전자부품용 기판 온도 균일도 ±5℃급 국부가열 접합공정 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이종 소재 간 고강도 접합을 위한 습식 표면처리 기술 개발 공고 3도토리 노민우
828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선택적 광반사각 제어 가능한 고내구성 광학 필름 제조 기술 개발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