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글로벌 주요국들의 청책 추진 현황과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노민우 | 조회수 | 39 | |
---|---|---|---|---|---|---|
용량 | 23.12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3.1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82 |
딥시크의 등장과 배경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스타트업인 딥시크(창업자: 량원평)가 전 세계 AI 산업계에 상당한 파급력을 갖는 DeepSeek-R1 모델
(이하 R1 모델)을 출시1, 2
● 딥시크의 추론형 AI 모델 ‘R1’과 ‘R1-Zero’*는 AI 연구 커뮤니티와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화제로 부상3
* R1-Zero는 강화학습만으로 학습된 모델로 지도학습 기반 파인튜닝(Supervised Fine-Tuning, SFT)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이며, 반면에 R1은 소량의 콜드스타트 데이터(Cold-start Data)와 다단계 학습과정을 통해
더욱 향상된 성능과 가독성을 제공하는 모델
● 딥시크는 R1 모델 발표와 함께 AI 산업에서 핵심 플레이어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가성비 높은 AI 모델로서의 입지를 구축해 가는 추세
오픈AI 및 구글은 기반모델을 개발하여 폐쇄적인 형태로 운영하는 반면,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R1 모델 개발4
●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지식 증류와 다단계 강화학습과 같은 비용 절감 기술을 도입하여 AI 모델의 효율성을 향상5
● R1 모델은 AI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문가 혼합(Mixture-of-Experts, MoE) 기술을 활용
● 딥시크는 벤치마킹 평가 결과를 통해 R1 모델이 GPT-4 모델과 경쟁할 만한 성능을 기록했다고 주장
미국의 AI 안전·신뢰성 정책 흐름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가 AI R&D 전략 계획을 최초로 수립
● 오바마 행정부는 2016년 10월 ‘인공지능의 미래에 대한 행정부의 보고서’를 발간*하며 인공지능의 기회,
고려사항과 향후 과제를 전반적으로 검토
* ‘미래 인공지능의 준비(NSTC1, 2016.10.)’와 ‘국가 AI 연구개발 전략’이라는 두 개의 보고서 발간
- ‘미래 인공지능의 준비’ 보고서에서는 AI의 현재 상태, 기존 및 잠재적 응용 분야, AI의 발전이 사회와 공공 정책에 제기하는 질문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추가 조치에 대한 권고사항도 제시
- ‘국가 AI 연구개발 전략’ 보고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회적 공익을 증진하고 정부 운영을 개선하는 방법,
혁신을 장려하는 동시에 대중을 보호하는 여러 정책 권고사항*을 제시
* 2016년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이 주도한 전국 공동 워크숍 5회, 161건의 정보요청(RFI) 내용 포함, 23개의 정부 정책 권고안 제시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