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중국의 AI산업 정책 전략과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46 | |
---|---|---|---|---|---|---|
용량 | 928.09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28.09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8 |
1. 중국의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 정책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성장 : 국가 전략으로 AI 본격 추진, ‘AI․로봇 개발’ 집중
○ 중국 정부는 거대 자금을 투입해 자국 기업들이 AI 기술 개발과 함께 핵심 분야에서 능력을 확대 할 수 있도록 지원,
그 결과 반도체 업계가 크게 변화해 최첨단 AI 모델 개발이 가능한 능력 구비
- 국가 주도의 AI 정책 추진을 통해 기술력과 혁신성을 높이고, AI R&D와 응용에서 세계적으로 강한 존재감을 보이며
글로벌 AI 분야에서 미국에 이어 중국은 두 번째로 강력한 위치를 확보
- AI 기업 수에서도 세계 2위를 기록하고, 대규모 범용 AI 모델뿐만 아니라 산업별 특화된 AI 모델 개발에도 집중하는 등
중국의 AI 산업은 지속 성장
※ AI 기업 수는 5,734개 사를 넘어서, ’23년 6월 기준 세계 2위를 기록해 전 세계 AI 기업의 약 16% 차지
- 최근에는‘신체화 AI(Embodied AI)’*가 AI 진화의 키가 될 것으로 예상, 지능형 로봇 분야에 많은 기업이 참여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의 기술력은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성장
* 로봇 등의 실물에 생성AI를 결합해 주변 환경을 인식․학습시켜 사람․사물․환경 등과 동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AI
- 로봇과 자율주행 등 신기술이 계속 등장하며 중국 기업의 AI 기술력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발전
※ 글로벌하게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도 개발이 활발하고,
그중 에서도 중국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기업과 관련 엔지니어 수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
2. 중국의 인공지능(AI) 정책 기조와 주요 변화1)
AI 응용 확대 : ‘융합과 속도’․‘응용’에 초점을 두고 본격 AI 적용에 돌입
○ 중국 정부 차원의 주요 AI 정책은 ’15년에 발표한 「중국 제조 2025」에서 시작, 이 계획에서 AI를 포함한 제품 제조 등을
’25년 중국 제조업의 모습으로 제시
- 이후, ’16년 제13차 5개년 계획 개요(’16~’20)와 ’21년 제14차 5개년 계획(’21~’25), 그리고 같은 해에
’35년 장기 목표 개요에서 AI 추진 제시, ’17년에는 「차세대 AI 발전계획」 공표
- 최근에는 데이터․인재 육성․컴퓨팅 자원․자율주행․의료․세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응용 추진
※ 「데이터 요소×」 3개년 행동 계획(’24~’26), 디지털 인재 육성 가속화와 디지털 경제 발전 지원 행동계획(’24~’26),
컴퓨팅 인프라 고품질 발전 행동 계획, 스마트카 혁신 발전 전략, 의료(제14차 5개년 계획 생물 경제 발전 계획),
세무(전통 제조업의 모델 전환 및 고도화 가속에 관한 지도 의견) 등
○ ’24년에는 정부 활동 보고에서 ‘AI+’ 행동 계획이 처음으로 제시되었으며, 이는 AI 기술을 모든 산업과 응용 분야에 적극적으로
결합하는 본격적인 단계로 진입하려는 것을 의미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